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몽구노거(夢句露居)
메뉴닫기 메뉴열기

몽구노거(夢句露居)


1:15ㄱ

夢句露居

1:15ㄴ

池夢句丹陽郡人 父溺死北津求屍葬于釜谷日夜哭踴墳前露居一日大虎來吼夢句曾不怖懼鄕人哀之共構草廬 㫌閭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디몽구 단양군 사이라 아비 븍진의 뎌 죽거 주001)
아비 븍진의 뎌 죽거:
아버지가 북진에 빠져 죽거늘. 원순모음화를 거치면서 ‘븍진〉북진’이 되었다. 원순모음화란 일종의 동화현상으로서 청각 인상을 분명하게 하기 위한 음운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순음성 자음앞뒤에서 중설모음 ‘ㅡ’가 올 때 ‘ㅜ’로 소리가 나는 현상이다.
주검을 구야 부곡의 영장고 낫밤을 무덤 알픠 울며 발 구로고 한셔 사더니  큰범이 와셔 울거 몽귀 저허 아니더니 주002)
저허 아니더니:
무서워 아니 하더니. 두려워하지 않더니. ‘저허’의 기본형은 ‘저허다’인데, 접미사 ‘다’가 생략된 형이다. ¶오히려 일흘까 저허홀 띠니라[猶恐夫]〈논어언해 2 : 38〉.
일향 사이 어엿비 너겨 가지로 초개집을 지어 주니라 졍녀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몽구노거 - 지몽구가 아비 무덤에서 노숙하다
지몽구는 단양군 사람이다. 아비가 북진 나루에 빠져 죽었다. 시신을 건져내어 장사하고 밤낮을 무덤 앞에서 울며 발을 구르고 한데서 살고 있었다. 하루는 큰 호랑이가 와서 울거늘 몽구는 두려워 아니하니 마을 사람들이 불쌍히 여겨 함께 초가집을 지어 주었으며 정려를 받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비 븍진의 뎌 죽거:아버지가 북진에 빠져 죽거늘. 원순모음화를 거치면서 ‘븍진〉북진’이 되었다. 원순모음화란 일종의 동화현상으로서 청각 인상을 분명하게 하기 위한 음운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순음성 자음앞뒤에서 중설모음 ‘ㅡ’가 올 때 ‘ㅜ’로 소리가 나는 현상이다.
주002)
저허 아니더니:무서워 아니 하더니. 두려워하지 않더니. ‘저허’의 기본형은 ‘저허다’인데, 접미사 ‘다’가 생략된 형이다. ¶오히려 일흘까 저허홀 띠니라[猶恐夫]〈논어언해 2 : 38〉.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