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손유부모(孫宥負母)
메뉴닫기 메뉴열기

손유부모(孫宥負母)


1:55ㄱ

孫宥負母

1:55ㄴ

鄕吏孫宥淸州人辛禑四年倭寇所居里兒女攬衣號泣宥不顧徑走母家負而逃匿得免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향니 손유 청 사이니 신우 년의 예도적기 사  도적질 니 아 겨지비 오 잡고 울거  도라보디 아니코 즈러 어믜 지브로 라가 주001)
 도라보디 아니코 즈러 어믜 지브로 라가:
손유가 돌아보지 않고 바로 어미의 집으로 달려가. ‘즈러[徑]’는 ‘즈르다’(남명천 하 : 38)의 어간형 부사로 굳어진 형이다. 전설모음화를 거치면서 ‘즐러〉질러’로 소리의 청각 인상이 강해지고 발음하기가 쉬어졌다. 전설모음화란 현재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ㅈ이나 ㅊ 또는 ㅅ 다음에 오는 ‘으’가 전설모음인 ‘이’로 바뀌는 발음 경제화 현상이다. 예를 들면 ‘아츰〉아침’, ‘거즛〉거짓’ 등에서 전설모음화 현상을 엿볼 수 있다. ‘道도ㅣ니라’의 ‘-ㅣ니라’는 서술격 조사의 설명형 종결어미가 통합된 경우다. 서술격 조사는 체언에 통합되어 체언을 용언으로 만드는 품사 전성의 기능이 있다. 이로 말미암아 체언이 용언화됨으로써 우리말의 서술 기능을 확대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 말하자면 준굴곡어미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문법적인 길을 터놓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서술격 조사가 무슨 조사인가 하는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조사로 분류하여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된다. 거꾸로 무슨 용언의 활용어미가 바로 체언에 통합이 되는가에 대한 주장이 맞섬으로써 문법 기술의 안개 현상을 가져오게 된다. 요즘 학교문법에서는 서술격 조사로 체계화함으로써 교착어미의 질서를 다듬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체언의 용언화가 일어남으로써 조사를 넘어 거의 완전한 굴곡어미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업고 도망여 수머 면호믈 얻다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손유부모 - 손유가 어미를 업다
향리 손유는 청주 사람이다. 고려 우왕 4년(1378)에 왜적이 사는 마을에 도적질을 하니, 처자식이 옷을 잡고 울거늘 손유가 돌아보지 않고 질러 빠르게 어머니의 집으로 달려가 업고 도망하여 숨어서 잡히지 않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 도라보디 아니코 즈러 어믜 지브로 라가:손유가 돌아보지 않고 바로 어미의 집으로 달려가. ‘즈러[徑]’는 ‘즈르다’(남명천 하 : 38)의 어간형 부사로 굳어진 형이다. 전설모음화를 거치면서 ‘즐러〉질러’로 소리의 청각 인상이 강해지고 발음하기가 쉬어졌다. 전설모음화란 현재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ㅈ이나 ㅊ 또는 ㅅ 다음에 오는 ‘으’가 전설모음인 ‘이’로 바뀌는 발음 경제화 현상이다. 예를 들면 ‘아츰〉아침’, ‘거즛〉거짓’ 등에서 전설모음화 현상을 엿볼 수 있다. ‘道도ㅣ니라’의 ‘-ㅣ니라’는 서술격 조사의 설명형 종결어미가 통합된 경우다. 서술격 조사는 체언에 통합되어 체언을 용언으로 만드는 품사 전성의 기능이 있다. 이로 말미암아 체언이 용언화됨으로써 우리말의 서술 기능을 확대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 말하자면 준굴곡어미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문법적인 길을 터놓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서술격 조사가 무슨 조사인가 하는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조사로 분류하여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된다. 거꾸로 무슨 용언의 활용어미가 바로 체언에 통합이 되는가에 대한 주장이 맞섬으로써 문법 기술의 안개 현상을 가져오게 된다. 요즘 학교문법에서는 서술격 조사로 체계화함으로써 교착어미의 질서를 다듬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체언의 용언화가 일어남으로써 조사를 넘어 거의 완전한 굴곡어미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