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사흥할고(士興割股)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흥할고(士興割股)


1:73ㄱ

士興割股

1:73ㄴ

縣監崔士興鎭川縣人 誠孝出天棄官養親母病割股肉以進翌日乃瘳居憂終始啜粥 恭定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현감 최흥은 딘쳔현 사이니 졍셩과 효되 하희 나 벼슬 리고 어버이 치더니 어미 병 들거 다리 버혀  나오니 이날 이예 됴니라 근심 만나 죵시예 쥭만 머그니라 공뎡대왕됴애 주001)
공뎡대왕됴애:
공정대왕 조에.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공정대왕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조선 제2대 임금 정종을 가리킨다. 그는 고려 우왕 3년(1377)에 아버지 이성계를 따라 지리산에서 왜구를 토벌했고, 창왕 2년(1389) 유만수(柳曼殊) 밑에서 해주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했다. 조선이 개국되자 영안군(永安君)에 봉해지고, 태조 7년(1398) 제 1차 왕자의 난 이후 이방원의 영향력 아래에서 태조의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정종 1년(1399) 3월에 개경으로 수도를 옮겼고, 집현전을 설치했다. 같은 해 8월 분경금지법(奔競禁止法)을 제정하여 권신들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분경이란 분추경리(奔趨競利)의 줄임말로 벼슬을 얻기 위해 집정자의 집에 분주하게 드나들며 벼슬 자리 운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고려 시대에도 분경의 폐단이 없지 않았으나 법으로 금지한 일은 없었다. 정종 2년(1400) 2월 제 2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하여 아우 방원을 세제(世弟)로 책봉했다. 다시 같은 해 사병(私兵)을 혁파하고 병권을 의흥삼군부에 집중시켰다. 또한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고치고, 중추원을 삼군부로 고치면서 군·정 분리체제를 이룩했다. 6월에는 노비변정도감(奴婢辨正都監)을 설치했다. 같은 해 11월 세제 방원에게 용상을 물려주었다.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사흥할고 - 최사흥이 다릿살을 베다
현감 최사흥은 진천현 사람이다. 정성과 효성은 하늘이 낸 바, 벼슬을 버리고 어버이를 모셨다. 어미가 병이 들어 다리의 살을 베어 드리니 이튿날 이어 좋아졌다. 간병하는 동안 시종 죽만 먹었다. 공정대왕 시절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공뎡대왕됴애:공정대왕 조에.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공정대왕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조선 제2대 임금 정종을 가리킨다. 그는 고려 우왕 3년(1377)에 아버지 이성계를 따라 지리산에서 왜구를 토벌했고, 창왕 2년(1389) 유만수(柳曼殊) 밑에서 해주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했다. 조선이 개국되자 영안군(永安君)에 봉해지고, 태조 7년(1398) 제 1차 왕자의 난 이후 이방원의 영향력 아래에서 태조의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정종 1년(1399) 3월에 개경으로 수도를 옮겼고, 집현전을 설치했다. 같은 해 8월 분경금지법(奔競禁止法)을 제정하여 권신들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분경이란 분추경리(奔趨競利)의 줄임말로 벼슬을 얻기 위해 집정자의 집에 분주하게 드나들며 벼슬 자리 운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고려 시대에도 분경의 폐단이 없지 않았으나 법으로 금지한 일은 없었다. 정종 2년(1400) 2월 제 2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하여 아우 방원을 세제(世弟)로 책봉했다. 다시 같은 해 사병(私兵)을 혁파하고 병권을 의흥삼군부에 집중시켰다. 또한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고치고, 중추원을 삼군부로 고치면서 군·정 분리체제를 이룩했다. 6월에는 노비변정도감(奴婢辨正都監)을 설치했다. 같은 해 11월 세제 방원에게 용상을 물려주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