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4권 주해
  • 효자도 제4권
  • 유씨단지(柳氏斷指)
메뉴닫기 메뉴열기

유씨단지(柳氏斷指)


4 : 1ㄱ

柳氏斷指

4 : 1ㄴ

處女柳氏文化縣人年十四父歿朝夕必親奠母又得惡疾斷指燒進病愈 恭僖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처녀 뉴시 문홰현 사이라 나히 열네힌 제 주001)
나히 열네힌 제:
나이가 열넷인 때. 음운탈락을 거치면서 ‘나히〉나이’가 되었고, ‘열네힌’의 ‘네’는 히읗종성체언이므로 특수곡용을 한 것이다. 15세기에 쓰이던 중세국어 가운데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과 조사가 통합될 때, 언어적인 조건 없이 ㅎ이나 ㄱ이 덧붙는 낱말들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ㅎ의 경우, 하늘, 바다, 나라, 안 따위가 있다. 예를 들어 ‘바다’란 명사에 조사 ‘-이’가 붙는 경우 ‘바다이’가 되어야 마땅하나, 바다는 ㅎ종성체언이므로 ‘바다+ㅎ+이’가 되어‘바다히’라고 썼다.
아비 죽거 아나죄 주002)
아나죄:
아침저녁으로. 조석(朝夕)으로. ‘나죄’의 단독형은 ‘나조’인데, 부사격 조사의 이형으로 ‘-ㅣ’가 통합된 형이다.
반시 손소 졔 뎐며  어미 사오나온 병을 주003)
사오나온 병을:
사나운 병을. 모진 병. 기본형은 ‘사오납다’이고, 음운탈락을 거치면서 ‘사오납다〉사납다’로 음절이 줄어 쓰인다. ¶사오나온 사더라[如懦夫然]〈내훈1 : 36〉.
어덧거 손가락 버혀 라 받오니 병이 됴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유씨단지 - 유씨가 손가락을 끊다
처녀 유씨는 문화현 사람이다. 나이 열넷인 때 아비가 돌아가거늘 아침 저녁으로 반드시 손수 음식을 만들어 제사를 지냈다. 또 어미가 모진 병을 얻었거늘 손가락을 베어 불에 살라 드리니 병이 좋아졌다. 공희대왕(중종)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히 열네힌 제:나이가 열넷인 때. 음운탈락을 거치면서 ‘나히〉나이’가 되었고, ‘열네힌’의 ‘네’는 히읗종성체언이므로 특수곡용을 한 것이다. 15세기에 쓰이던 중세국어 가운데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과 조사가 통합될 때, 언어적인 조건 없이 ㅎ이나 ㄱ이 덧붙는 낱말들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ㅎ의 경우, 하늘, 바다, 나라, 안 따위가 있다. 예를 들어 ‘바다’란 명사에 조사 ‘-이’가 붙는 경우 ‘바다이’가 되어야 마땅하나, 바다는 ㅎ종성체언이므로 ‘바다+ㅎ+이’가 되어‘바다히’라고 썼다.
주002)
아나죄:아침저녁으로. 조석(朝夕)으로. ‘나죄’의 단독형은 ‘나조’인데, 부사격 조사의 이형으로 ‘-ㅣ’가 통합된 형이다.
주003)
사오나온 병을:사나운 병을. 모진 병. 기본형은 ‘사오납다’이고, 음운탈락을 거치면서 ‘사오납다〉사납다’로 음절이 줄어 쓰인다. ¶사오나온 사더라[如懦夫然]〈내훈1 : 36〉.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