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2권 주해
  • 효자도 제2권
  • 영손여묘(永孫廬墓)
메뉴닫기 메뉴열기

영손여묘(永孫廬墓)


2 : 38ㄱ

永孫廬墓

2 : 38ㄴ

張永孫長水縣人 父歿廬墓三年不食鹽醬手具祭饌朝夕哭奠 㫌閭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댱영손은 댱슈현 사이라 아비 죽거 삼년 시묘고 소곰쟝 먹디 아니며 주001)
소곰쟝 먹디 아니며:
소금과 장을 먹지 아니하며.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먹디〉먹지’가 되었다. 기본형은 ‘먹다’인데, 여기에 부정의 부사형 어미 ‘-디’가 통합된 형이다. 의존명사 ‘’에 주격조사 ‘-이’가 유착이 되어 하나의 형태소로 굳어진 것이다. 이러한 ‘’ 류의 의존명사는 반드시 관형형 어미 아래 통합되는 분포상의 제약이 있다. 이러한 의존명사의 의존적인 특징이 관형사형 어미와 유착하여 이루어지는 어미와 조사가 우리말의 문법적인 특징의 가장 대표적인 교착성을 발달시켜 왔다. 의존명사 가운데 기원의존명사로 보이는 ‘, ’가 그 중심에 선다.
손조 졔찬 쟝만야 됴석의 울고 졔니라 졍녀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영손여묘 - 장영손이 여묘를 지키다
장영손은 장수현 사람이다. 아비가 돌아가매 삼 년 시묘를 하고, 소금과 장을 먹지 않고 손수 제사 음식을 차려 조석에 울고 제사를 올렸다. 정려를 받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곰쟝 먹디 아니며:소금과 장을 먹지 아니하며.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먹디〉먹지’가 되었다. 기본형은 ‘먹다’인데, 여기에 부정의 부사형 어미 ‘-디’가 통합된 형이다. 의존명사 ‘’에 주격조사 ‘-이’가 유착이 되어 하나의 형태소로 굳어진 것이다. 이러한 ‘’ 류의 의존명사는 반드시 관형형 어미 아래 통합되는 분포상의 제약이 있다. 이러한 의존명사의 의존적인 특징이 관형사형 어미와 유착하여 이루어지는 어미와 조사가 우리말의 문법적인 특징의 가장 대표적인 교착성을 발달시켜 왔다. 의존명사 가운데 기원의존명사로 보이는 ‘, ’가 그 중심에 선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