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2권 주해
  • 효자도 제2권
  • 이신부토(李申負土)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신부토(李申負土)


2 : 29ㄱ

李申負土

2 : 29ㄴ

持平李申密陽府人居父喪夜不解帶哀毁骨立親自負土營墳廬墓三年 㫌閭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디평 니신은 밀양부 사이니 주001)
디평 니신은 밀양부 사이니:
지평 이신은 밀양부 사람이니.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디평〉지평’이 되고, 두음회피현상을 거치면서 ‘니신〉이신’이 되었다. 이는 모두가 발음 용이화에 따른 소리의 단순화라고 할 수 있다.
아븨 거상의 밤이라도  아니 그고 셜워 여위여 만 셧더라 친히 스스로 () 져 무덤 고 삼년 녀묘니라 졍녀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이신 주002)
이신(李申):
고려 말엽의 문신. 경남 밀양시 하남읍 남전리 산 1번지에 그의 정려가 있다. 당시에는 효자비나 정려는 그 마을을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에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워졌다. 특히 이 효자비 때문에 이 마을의 이름이 효자문으로 불리고 있다. 이 효자 정려는 이신의 효행을 표창하기 위하여 조선 태종의 명으로 세워진 것인데, 조선 시대에 세워진 정문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전체를 하나의 돌로써 비신을 만들지 않고 중간을 비우고 윗부분에 따로 조그만 돌을 끼워 비문을 만든 양식이 특이하다. 효자비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순군부 도만호 사헌부시사 이신은, 자가 신지(伸之), 자호(自號)는 계은(溪隱)이고, 사재령 일선(日善)의 장자이며 상장군 소봉(小鳳)의 손자다. 그 선대는 재령인(載寧人)으로 대대로 밀양의 남쪽 소음촌(지금의 조음)에 살았다. 공은 천품이 강정하고 의리에 밝았다. 젊을 적에 금동역로에 마침 웅산(熊山)의 괴신(怪神)이 있자 곧장 끌어다가 깨어 부수었다. 이로 말미암아 요사스런 기운이 강을 넘어 동쪽으로 오지 못하였으니 이곳 주민에게 공이 컸다. 평소 거처에 몸을 삼가하고 행실이 독실하여 들어오면 효도하고 나가면 우애하였다. 내외 양친상을 당하자 장사를 치름에 아우들에게 비용을 함께 부담하기를 허용치 않고 홀로 흙을 져서 무덤을 만들고 상복을 입은 3년 동안 밤에도 옷을 벗지 아니하고 죽을 마시며 상을 마치니 향리 사람들이 공경하며 감복하였다. 중산 아래 청계 위에다 재사를 짓고 매달 초하루 보름이면 형제들과 성묘한 뒤 당에 모여서 돈독을 닦고 밤이면 이야기하다가 함께 잠을 자며 그 당을 소계당(召溪堂)이라 하였는데 사람들은 효우당(孝友堂)이라 일컬었다. 공민왕 때 효렴(孝廉)으로 여러번 관직을 옮겨 도만호와 사헌부시사를 역임하였고 공양왕 때 사헌부 지평이 되어 간신(諫臣) 김진양과 더불어 상소하여 조준(趙浚)을 심하게 논하였다.(이하 없어졌다.
부토 - 이신이 흙을 쌓다
지평 주003)
지평(持平):
고려 조선 때의 정5품 벼슬.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감찰사가 사헌부로 개편되면서 설치하여, 이후 없앴다가 다시 살려 공민왕 21년(1372)에 사헌부의 속관으로 정립하여 고려 말엽까지 이어졌고, 조선조에서도 존속시켰다.
이신은 밀양부 사람이다. 아비 상을 당하여 밤이라도 띠를 풀지 않고 너무 슬퍼하여 애통하다 뼈만 남았다. 친히 스스로 흙을 져다가 무덤을 만들고 삼 년의 시묘를 하였다. 정려를 받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디평 니신은 밀양부 사이니:지평 이신은 밀양부 사람이니.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디평〉지평’이 되고, 두음회피현상을 거치면서 ‘니신〉이신’이 되었다. 이는 모두가 발음 용이화에 따른 소리의 단순화라고 할 수 있다.
주002)
이신(李申):고려 말엽의 문신. 경남 밀양시 하남읍 남전리 산 1번지에 그의 정려가 있다. 당시에는 효자비나 정려는 그 마을을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에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워졌다. 특히 이 효자비 때문에 이 마을의 이름이 효자문으로 불리고 있다. 이 효자 정려는 이신의 효행을 표창하기 위하여 조선 태종의 명으로 세워진 것인데, 조선 시대에 세워진 정문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전체를 하나의 돌로써 비신을 만들지 않고 중간을 비우고 윗부분에 따로 조그만 돌을 끼워 비문을 만든 양식이 특이하다. 효자비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순군부 도만호 사헌부시사 이신은, 자가 신지(伸之), 자호(自號)는 계은(溪隱)이고, 사재령 일선(日善)의 장자이며 상장군 소봉(小鳳)의 손자다. 그 선대는 재령인(載寧人)으로 대대로 밀양의 남쪽 소음촌(지금의 조음)에 살았다. 공은 천품이 강정하고 의리에 밝았다. 젊을 적에 금동역로에 마침 웅산(熊山)의 괴신(怪神)이 있자 곧장 끌어다가 깨어 부수었다. 이로 말미암아 요사스런 기운이 강을 넘어 동쪽으로 오지 못하였으니 이곳 주민에게 공이 컸다. 평소 거처에 몸을 삼가하고 행실이 독실하여 들어오면 효도하고 나가면 우애하였다. 내외 양친상을 당하자 장사를 치름에 아우들에게 비용을 함께 부담하기를 허용치 않고 홀로 흙을 져서 무덤을 만들고 상복을 입은 3년 동안 밤에도 옷을 벗지 아니하고 죽을 마시며 상을 마치니 향리 사람들이 공경하며 감복하였다. 중산 아래 청계 위에다 재사를 짓고 매달 초하루 보름이면 형제들과 성묘한 뒤 당에 모여서 돈독을 닦고 밤이면 이야기하다가 함께 잠을 자며 그 당을 소계당(召溪堂)이라 하였는데 사람들은 효우당(孝友堂)이라 일컬었다. 공민왕 때 효렴(孝廉)으로 여러번 관직을 옮겨 도만호와 사헌부시사를 역임하였고 공양왕 때 사헌부 지평이 되어 간신(諫臣) 김진양과 더불어 상소하여 조준(趙浚)을 심하게 논하였다.(이하 없어졌다.
주003)
지평(持平):고려 조선 때의 정5품 벼슬.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감찰사가 사헌부로 개편되면서 설치하여, 이후 없앴다가 다시 살려 공민왕 21년(1372)에 사헌부의 속관으로 정립하여 고려 말엽까지 이어졌고, 조선조에서도 존속시켰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