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박간부토(朴幹負土)
메뉴닫기 메뉴열기

박간부토(朴幹負土)


1:85ㄱ

朴幹負土

1:85ㄴ

朴幹江西縣人 父喪三年晨昏負土自成墳塋不離墓側朝夕供奠 莊憲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박간은 강셔현 사이니 아 거상 삼년의 새배 어을므로 주001)
새배 어을므로:
새벽과 저녁으로. ‘어을므로’의 단독형은 ‘어으름’으로 상정된다. 음절 축약에 따라서 ‘어을’에 부사격 조사 ‘-므로’가 통합된 형이다. ¶어으름[昏]〈신증유합 상 : 3〉. 밥 머그믈 어으름과 나 그노라[飯食錯昏晝]〈두시언해(중간) 11 : 25〉.
 져 스스로 무덤을 고 무덤의 나디 아니야 됴셕의 졔 니라 장헌대왕됴의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박간부토 - 박간이 흙을 쌓다
박간은 강서현 사람이다. 아버지 상을 당하여 삼 년 동안 아침과 저녁으로 흙을 져서 스스로 무덤을 만들고 무덤가를 떠나지 않으면서 조석의 제를 올렸다. 장헌대왕 세종 때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새배 어을므로:새벽과 저녁으로. ‘어을므로’의 단독형은 ‘어으름’으로 상정된다. 음절 축약에 따라서 ‘어을’에 부사격 조사 ‘-므로’가 통합된 형이다. ¶어으름[昏]〈신증유합 상 : 3〉. 밥 머그믈 어으름과 나 그노라[飯食錯昏晝]〈두시언해(중간) 11 : 25〉.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