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광렴목상(光廉木像)
메뉴닫기 메뉴열기

광렴목상(光廉木像)


1:6ㄱ

光廉木像

1:6ㄴ

朴光廉高麗成宗時人 居平壤牧丹里 母亡七日 忽見枯木宛似母形 安置室中 奉之如生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박광념은 고려 셩종 적 사이니 평양 모란니예 사더라 어미 주근 닐웬마 이운 남기 주001)
이운 남기:
시든 나무가. ‘남기’의 단독형은 ‘나모’이며 주격조사 ‘-이’가 통합된 형이다. 이른바 ㄱ종성체언이다. ‘돗’처럼 시옷으로 끝이 나는 대부분의 명사는 기역 곡용으로 조사와의 결합과정에서 자동적으로 끼어드는 특수곡용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삿,낫,갓 등).
엇시 어믜 얼굴이 거 주002)
엇시 어믜 얼굴이 거:
희미하게 어머니 모습과 같거늘. 기본형은 ‘엇브시’인데 원순모음화와 경음화를 거치면서 굳어진 형태임. 중세국어에 ‘얼굴(얼골)’은 ‘모습’이나 ‘틀’을 뜻하였다. ¶집의 들어 엇브시보옴이 이시며[入室僾然見]〈소학언해 2 : 27〉.
제 집 가온대 두어 위왇기 주003)
위왇기:
떠받들기를. 기본형은 ‘위왓다’인데 명사형 어미 ‘-기’가 통합된 형이다. 추정컨대, ‘위받다〉위왇다’로 소리가 약화 탈락하면서 굳어진 형으로 보인다. ¶위왓디 아니니 치니[征不享]〈십구사략 1 : 3〉. 위와 봉(奉)〈신증유합 하 : 15〉.
사라실 적티 더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광렴목상 - 박광렴이 목상을 받들다
박광렴은 고려 성종 때 사람으로 평양 모란리에 살았다. 어머니가 돌아간 지 이레 만에 시들어 마른 나무가 어머니 모습과 거의 같거늘 제집 가운데 두어 받들기를 살아있을 때와 같이 하였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운 남기:시든 나무가. ‘남기’의 단독형은 ‘나모’이며 주격조사 ‘-이’가 통합된 형이다. 이른바 ㄱ종성체언이다. ‘돗’처럼 시옷으로 끝이 나는 대부분의 명사는 기역 곡용으로 조사와의 결합과정에서 자동적으로 끼어드는 특수곡용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삿,낫,갓 등).
주002)
엇시 어믜 얼굴이 거:희미하게 어머니 모습과 같거늘. 기본형은 ‘엇브시’인데 원순모음화와 경음화를 거치면서 굳어진 형태임. 중세국어에 ‘얼굴(얼골)’은 ‘모습’이나 ‘틀’을 뜻하였다. ¶집의 들어 엇브시보옴이 이시며[入室僾然見]〈소학언해 2 : 27〉.
주003)
위왇기:떠받들기를. 기본형은 ‘위왓다’인데 명사형 어미 ‘-기’가 통합된 형이다. 추정컨대, ‘위받다〉위왇다’로 소리가 약화 탈락하면서 굳어진 형으로 보인다. ¶위왓디 아니니 치니[征不享]〈십구사략 1 : 3〉. 위와 봉(奉)〈신증유합 하 : 15〉.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