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1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상
  • 제150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50


棄有著空이 病亦然니 背空取有도 還如是니라 鉢袋 持來호 夜未央인제 老盧도 只見錐頭利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有 리고 空애 브토미 病이  그러니 空 리고 有 取홈도  이니라 바릿 주머니 디녀오 바미 디 아니야신 제  老盧도 오직 솔옷 그티 카오 주001)
카오:
-(날카롭다) + - + -.
보니라 [老 늘글시오 盧 六祖ㅅ姓이니 壇經에 니샤 五祖ㅣ 바미 三更이어늘 惠能 堂內예 오라 샤 곧 頓敎와 옷과 바리와 傳시고 너

남명집언해 상:78ㄱ

第六代祖 삼노니 이대 護念야 모 사 너비 濟度라 실 바미 디 아니타 시니라]
【주】〈첫 句 二乘이라 둘짯 句 凡夫와 常見 外道ㅣ라 네짯 句 六祖ㅣ 頌云샤 菩提ㅣ 本來 즘게 업고  거우뤼  臺 아니니 本來  것도 업거니 어느 고대 듣그리 버믈리오 주002)
버믈리오:
버믈-(걸리다, 얽매다) + -리- + -오.
시니 이 마리 空애 딘  이 혀 空애 브토매 證 사시니라 녜 닐오 오직 솔옷 귿 카오 보고  머리 方호 보디 몯다 니 솔옷 카오 空이오  方호 有ㅣ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유를 버리고 공에 붙음이 병이 또 그러하니, 공을 버리고 유를 취하는 것도 또 이와 같으니라. 바리의 주머니를 지녀 오되 밤이 밝지 아니할 때, 한 노로도 오직 송곳 끝이 날카로운 것을 보니라. [노(老)는 늙음이요, 로(盧)는 육조의 성이니 단경에 말씀하시되 “오조께서 밤이 삼경이거늘 혜능을 당내에 오라고 하시어 곧 돈교와 옷과 바리를 전하시고 너를 제6대 조사로 삼으니 잘 호념하여 모르는 사람을 널리 제도하라.” 하시므로 ‘밤이 밝지 아니하다.’ 하시니라.]
【주】〈첫 구는 이승(二乘)이라. 둘째 구절은 범부와 상견 외도이라. 넷째 구절은 육조께서 송운하시되 “보리가 본래 큰 나무에 없고 맑은 거울이 또 대(臺)가 아니니 본래 아무 것도 없거니 어느 곳에 티끌이 얽매이리요?” 하시니 이 말이 공(空)에 떨어진 듯하므로 이를 끌어 허공에 붙이는 것으로 증을 삼으시니라. 일찍이 말하되 오직 송곳 끝이 날카로운 것을 보고 끌의 머리가 네모남을 보지 못한다 하니, 송곳 날카로움은 공(空)이고 끌이 네모남은 유(有)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카오:-(날카롭다) + - + -.
주002)
버믈리오:버믈-(걸리다, 얽매다) + -리- + -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