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1

  • 역주 남명집언해
  • 영가대사 증도가 남명천선사 계송 서 [오용(吳庸)]
메뉴닫기 메뉴열기

영가대사 증도가 남명천선사 계송 서 [오용(吳庸)]


남명집언해:서1ㄱ

永嘉大師證道歌南明泉禪師繼頌序
我聞호니 如來ㅣ 善護念諸菩薩샤 以心시며 善付囑諸菩薩샤 以法시니 心之所示 言所不能該며 法之所傳 意所不能盡이니 卽言卽意ㅣ 皆諸妄想이며 離言意者도 亦復如是니라

내 듣오니 如來ㅣ 諸菩薩 이대 주001)
이대:
잘.
護念샤 로 시며 諸菩薩 이대 付囑샤 法로 시니  뵈시논 주002)
뵈시논:
뵈-(보이다) + -시- + -- + -오- + -ㄴ.
바 마리 能히 초 몯며 法 傳시논 바 디 能히 다디 주003)
다디:
다-(다하다) + -디.
몯니 말 卽며  卽호미 다 妄想이며 말와 과 여희어도  이 니라 [卽 가져셔 닷 마리라]

내가 들으니 여래께서는 여러 보살을 잘 호념하시되 마음으로 하시며, 여러 보살을 잘 부촉하시되 법으로 하시니, 마음을 보이시는 바는 말이 능히 갖추어 하지 못하며, 법이 전하시는 바는 뜻이 능히 다하지 못하니, 말을 즉하며 뜻을 즉하는 것이 다 망상이며, 말과 뜻을 벗어나도 또 이와 같으니라. [즉은 가지고 (무엇을) 한다는 말이라.]

不卽不離야 種種平等야

남명집언해:서1ㄴ

不墮於無며 不麗於有야 言意 兩忘야 而心法을 得矣리라

卽디 아니며 여희디 아니야 種種이 平等야 無에 디디 주004)
디디:
디-(떨어지다) + -디.
아니며 有에 븓디 아니야 말와 과 둘흘 니저 心法 得리라

즉하지 아니하며 벗어나지 아니하여 모든 종이 평등하여 무에 떨어지지 아니하며 유에 붙지 아니하여 말과 뜻을 둘 다 잊어야 심법을 얻으리라.

夫法本無爲라 對境而立며 心非有相이라 隨物而現니 故로 前際不來며 後際不去며 其於今也애도 如轉輪며 如流水호되 不流不轉며 而亦不住니 不住니 不住則無在也ㅣ니 無在而無不在ㅣ 是眞常住者也ㅣ니라

法이 本來 욤 업손디라 境 對야 셔며 미 相 잇논디 아니라 物을 조차 낟니 그럴 前際예 오디 아니며 後際예 가디 아니며 그 이제도 그우 주005)
그우:
그울-(구르다) + -[관형사형 어미]. *ㄹ불규칙 동사.

남명집언해:서2ㄱ

주006)
술위:
수레.
며 흐르 믈 호 흐르디 아니며 그우디 아니며  住티 아니니 住티 아니면 이숌 업스니 이숌 업스며 잇디 아니홈 업소미 이 眞實ㅅ 녜 住호미니라 [前際 過去ㅣ오 後際 未來라]

법이 본래 행위 없는 것이라. 경계를 대하여 서며, 마음이 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물을 좇아 나타나니, 그러므로 전제에 오지 아니하며 후제에 가지 아니하며, 그것이 지금도 구르는 수레와 같으며 흐르는 물과 같되 흐르지 아니하며 구르지 아니하며 또 머물지 아니하니, 머물지 아니하면 있음이 없으니, 있음이 없으며 있지 아니함이 없으니, 이야말로 진실로 항상 머무는 것이라. [전제는 과거이고, 후제는 미래이라.]

而昧者ㅣ 不知야 乃以色로 見如來며 以音聲로 求如來니 豈不謬哉리오

아 주007)
아:
아-(아즐하다, 흐릿하다, 몽매하다) + -ㄴ[관형사형 어미].
사미 아디 몯야 色로 如來 보오며 주008)
보오며:
보- + --[객체 존대 선어말 어미] + -()며. * 초기 훈민정음 문헌에는 ‘보며’로 표기되었다.
音聲로 如來 求니 엇뎨 외디 주009)
외디:
외-(그르다) + -디.
아니리오

몽매한 사람이 알지 못하여 색으로 여래를 뵈오며 음성으로 여래를 구하니 어찌 그릇되지 아니하리오.

永嘉禪師ㅅ 證道歌ㅣ 其深於道矣로다 然道無所事於證也ㅣ어 而永嘉ㅣ 方且嘵嘵야 而與俗과 辯者ㅣ 彼豈累於言意爲哉리오

永嘉禪師ㅅ 證道歌ㅣ 그 道애 깁도다 그러니 道 證애 일홀 주010)
일홀:
일-(일하다) + -오[대상 표시 선어말 어미] + -ㄹ[관형사형 어미].
배 업거늘 永

남명집언해:서2ㄴ

嘉ㅣ 보야로 주011)
보야로:
부사. *바야흐로.
들에샤 주012)
들에샤:
들에-(떠들다) + -시- + -아[보조적 연결어미].
俗 더브러 니샤미 뎨 엇뎨 말와 데 저쳐호미 주013)
저쳐호미:
저치-(거리끼다) + -어 + - + -오-[삽입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주격조사].
아니시리오 〔永嘉 옰 주014)
옰:
올(고을[邑]) + ㅅ[관형격조사].
일후미니 玄覺 大師 나샨라〕

영가선사의 증도가가 그 도에 깊도다. 그러하니 도는 증에 일할 바가 없거늘 영가께서 바야흐로 떠들어 속세와 더불어 말하심이 제 어찌 말과 뜻에 거리낌이 아니겠는가. 〔영가는 고을 이름이니 현각 대사가 나신 곳이라.〕

惟如來ㅣ 不厭世閒샤 而入涅槃시며 不法文字샤 而住解脫시며 不斷煩惱샤 而流出一切眞如菩提시니 永嘉ㅣ 蓋得諸此而已시니라

오직 如來ㅣ 世閒 아쳗디 주015)
아쳗디:
아쳗-(싫어하다) + -디.
아니샤 涅槃애 드르시며 文字 리디 아니샤 解脫애 住시며 煩惱 긋디 주016)
긋디:
긏-(끊다, 그치다) + -디.
아니샤 一切 眞如 菩提 흘려 주017)
흘려:
흘리-(흘리다) + -어[보조적 연결어미].
내시니 永嘉ㅣ 이 得실 미시니라

오직 여래께서 세간을 싫어하지 아니하시어 열반에 드시며 문자를 버리지 아니하시어 해탈에 머무르시며, 번뇌를 끊지 아니하시어 일체 진여 보리를 흘려 보내시니 영가께서 이를 얻으실 따름이시니라.

南明禪師泉公이 昔居千頃실 復頌證道歌샤 成三百二十篇시니 鳴呼ㅣ라 發如來ㅅ 大智慧海샤 使人이 皆得望其涯涘야 而泝其流케 샤

남명집언해:서3ㄱ

南明禪師 泉公이 녜 千頃에 사실 제  證道歌 頌샤 三百二十篇 일우시니 슬프다 如來ㅅ 큰 智慧海 베프샤 사미 다 그  주018)
:
(가) + -[목적격 조사].
라 주019)
라:
라-(바라다) + -아[연결 어미].
그 流에 거스리 주020)
거스리:
거슬리.
흘러 오게 샤 [南明과 千頃과 다 주021)
묏:
뫼(산) + ㅅ[관형격조사].
일후미니 泉禪師 사시던 라]

남명선사 천공이 옛 천경에 사실 때 또 증도가를 읊으시어 삼백이십 편을 이루시니 슬프다, 여래의 큰 지혜해를 베푸시어 사람이 다 그 가를 바라 그 흐름에 거슬러 오르게 하시되 [남명과 천경은 다 산의 이름이니 천선사 사시던 곳이라.]

不絶諸念시며 不著諸相시며 不外諸因緣샤 普以吾覺로 悅可衆心시니 何其盛哉라 觀其頌고 而吾ㅣ 無能惜其狂言야 故爲之序云노라
時熙寧十年丁巳七月 括蒼吳庸天用序
Ⓒ 필자 | 오용 / 1077년 7월

여러 念 긋디 아니시며 여러 相애 븓디 아니시며 여러 因緣 밧긔 아니샤 너비 내 아로로 주022)
아로로:
알-(알다) + -오- + -ㅁ + -로.
여러  깃기시니 주023)
깃기시니:
깃기-(기뻐하게 하다) + -시- + -니.
모 주024)
모:
자못.
盛시다 그 頌 보고 내 能히 미친 주025)
미친:
미치-(미치다) + -ㄴ[관형사형 어미].
말 앗기디 아니

남명집언해:서3ㄴ

야 그럴 序야 니노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여러 상념을 끊지 않으시며 여러 상에 붙지 않으시며 여러 인연을 벗지 않으시어 널리 나의 앎으로써 대중의 마음을 기쁘게 하시니, 자못 성대하시다. 그 송을 뵙고 내 능히 미친 말을 아끼지 아니하여, 그래서 서문에 이르노라.
時熙寧十年丁巳七月 括蒼吳庸天用序
Ⓒ 역자 | 김동소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대:잘.
주002)
뵈시논:뵈-(보이다) + -시- + -- + -오- + -ㄴ.
주003)
다디:다-(다하다) + -디.
주004)
디디:디-(떨어지다) + -디.
주005)
그우:그울-(구르다) + -[관형사형 어미]. *ㄹ불규칙 동사.
주006)
술위:수레.
주007)
아:아-(아즐하다, 흐릿하다, 몽매하다) + -ㄴ[관형사형 어미].
주008)
보오며:보- + --[객체 존대 선어말 어미] + -()며. * 초기 훈민정음 문헌에는 ‘보며’로 표기되었다.
주009)
외디:외-(그르다) + -디.
주010)
일홀:일-(일하다) + -오[대상 표시 선어말 어미] + -ㄹ[관형사형 어미].
주011)
보야로:부사. *바야흐로.
주012)
들에샤:들에-(떠들다) + -시- + -아[보조적 연결어미].
주013)
저쳐호미:저치-(거리끼다) + -어 + - + -오-[삽입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주격조사].
주014)
옰:올(고을[邑]) + ㅅ[관형격조사].
주015)
아쳗디:아쳗-(싫어하다) + -디.
주016)
긋디:긏-(끊다, 그치다) + -디.
주017)
흘려:흘리-(흘리다) + -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18)
:(가) + -[목적격 조사].
주019)
라:라-(바라다) + -아[연결 어미].
주020)
거스리:거슬리.
주021)
묏:뫼(산) + ㅅ[관형격조사].
주022)
아로로:알-(알다) + -오- + -ㅁ + -로.
주023)
깃기시니:깃기-(기뻐하게 하다) + -시- + -니.
주024)
모:자못.
주025)
미친:미치-(미치다) + -ㄴ[관형사형 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