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1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상
  • 제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1


證實相면 絶離微니 不在東邊며 不在西니라 最好江南三二月에 折花風暖커 鷓鴣啼노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實相 證면 離와 微왜 그츠니 東녁  잇디 아니며 西ㅅ녀긔 잇디 아니니라 江南 三二月에 곳 프고 주001)
프고:
프-(피다) + -고.
 덥거늘 주002)
덥거늘:
덥- + -거늘.
鷓鴣 우루믈 주003)
우루믈:
우룸(울음) + -을.
주004)
:
가장.
즐기노라 [鷓鴣 南方 잇 새니 보 우니 제  주005)
:
꿩.
니라]
【주】〈證 알시오 實 平實이오 相 體相이니 平고 實야 거츠롬 주006)
거츠롬:
거츨-(허망하다) + -오-[삽입 모음] + -ㅁ.
업슨 두려이 덛덛 주007)
덛덛:
덛덛-(떳떳하다) + -ㄴ.
體相 아로 니시니라 離 업소미오 微 이쇼미오 東

남명집언해 상:7ㄴ

이쇼매 屬고 西 업소매 屬니 이 實相 세 句에 븓디 아니 니샤 東녁  잇디 아니며 西ㅅ 녀긔 잇디 아니타 시니라 그러나 實相이 둘히 잇니 眞空 實相과 妙有 實相괘니 眞空 實相 처딘 주008)
처딘:
처디-(처지다, 떨어지다) + -ㄴ.
므리 처디니 주009)
처디니:
처디-(처지다, 떨어지다) + -ㄴ + 이(것).
마다 어 주010)
어:
얼-(얼다) + -.
딜 주011)
딜:
(뜻) + -일.
相 업슨 相 닐오 實相이라 고 妙有 實相 버들 파라 며 주012)
파라며:
파라-(파랗다) + -며.
벌거 주013)
벌거:
벌거-(벌겋다, 붉다) + -ㄴ.
디라 무로 다가 이 디 졸뎬 무윰과 주014)
무윰과:
뮈-(흔들다, 움직이다) + -우- + -ㅁ + -과.
이숌괘 반거니 주015)
반거니:
반-(완연하다, 반듯하다) + -거 + -니. * ‘-’가 생략됨.
엇뎨 이 세 句ㅣ 아니리오 對答호 오직 그 病을 덜오 그 法으란 더디 마롤디니라 다가 이 實相 뷔면 미티  주016)
:
꿰뚫게, 훤히, 투철히, 사뭇.
뷔오 주017)
뷔오:
뷔-(비다) + 고.
이시면 미티  잇니 뷔어나 잇거나 호매 낫나치 對 긋거니 엇뎨 세 句에 거리리오 주018)
거리리오:
거리-(거릴다) + -리 + -오.
三四句 有와 無와애 븓디 아니 平常 名相이니  이 風穴 묻오 말거나 호매 離와 微

남명집언해 상:8ㄱ

와애 브트니 엇뎨 通야 犯티 아니리고 穴이 니샤 江南 三月 소배 주019)
소배:
솝(속) + 애.
鷓鴣 우 고대 온갓 고지 옷곳호 주020)
옷곳호:
옷곳-(향그럽다, 향기롭다) + -오- + -ㅁ + .
녜 각노라 시니라 [風穴 주021)
뎘:
뎔(절) + ㅅ.
일훔이니 延昭 禪師 사던 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실상을 증명하면 이(離)와 미(微)가 끊기니 동쪽 가에 있지 아니하며 서쪽에 있지 아니하니라. 강남의 2,3월에 꽃 피고 바람이 더우니 자고가 울음을 가장 즐기노라. [자고는 남방에 있는 새이니 봄에 우는데 그것의 모습이 꿩과 같으니라.]
【주】〈증(證)은 아는 것이고 실(實)은 평실(平實)이고 상(相)은 체상(體相)이니, 평하고 실하여 허망함 없는 온전히 떳떳한 체상을 아는 것을 말하느니라. 이(離)는 없음이요 미(微)는 있음이고, 동은 있는 것에 속하고 서는 없는 것에 속하니 이 실상은 세 구절에 붙지 아니하므로 말씀하시되 “동쪽 가에 있지 아니하며 서쪽에 있지 아니하다.” 하시니라. 그러나 실상이 둘이 있으니 진공 실상과 묘유 실상이니, 진공 실상은 떨어지는 물이 떨어지는 것마다 어는 뜻이므로 상 없는 상을 말하되 실상이라 하고, 묘유 실상은 버들이 파라며 꽃이 붉은 뜻이라. 묻되, “만약 이 뜻이 갖추어진다면 움직임과 있음이 완연하거니 어찌 이 세 구절이 아니리오?” 대답하되, “오직 그 병을 덜고 그 법일랑은 덜지 말지니라. 만약 이 실상은 비면 밑이 사뭇 비고 있으면 밑이 사뭇 있으니, 비거나 있거나 함에 낱낱이 대(對)가 끊어지니 어찌 세 구절에 거리끼겠는가?” 셋째, 넷째 구절은 유와 무에 붙지 아니한 평범한 명상(名相)이니 한 중이 풍혈께 묻되 “말하거나 잠잠함에 이(離)와 미(微)에 붙으니 어찌 통하여 범치 아니하겠습니까?” 혈이 말씀하시되 “강남 삼월 속에 자고가 우는 곳에서 온갖 꽃이 향기로움을 항상 생각하노라.” 하시니라. [풍혈은 절 이름이니 연소 선사 살던 곳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프고:프-(피다) + -고.
주002)
덥거늘:덥- + -거늘.
주003)
우루믈:우룸(울음) + -을.
주004)
:가장.
주005)
:꿩.
주006)
거츠롬:거츨-(허망하다) + -오-[삽입 모음] + -ㅁ.
주007)
덛덛:덛덛-(떳떳하다) + -ㄴ.
주008)
처딘:처디-(처지다, 떨어지다) + -ㄴ.
주009)
처디니:처디-(처지다, 떨어지다) + -ㄴ + 이(것).
주010)
어:얼-(얼다) + -.
주011)
딜:(뜻) + -일.
주012)
파라며:파라-(파랗다) + -며.
주013)
벌거:벌거-(벌겋다, 붉다) + -ㄴ.
주014)
무윰과:뮈-(흔들다, 움직이다) + -우- + -ㅁ + -과.
주015)
반거니:반-(완연하다, 반듯하다) + -거 + -니. * ‘-’가 생략됨.
주016)
:꿰뚫게, 훤히, 투철히, 사뭇.
주017)
뷔오:뷔-(비다) + 고.
주018)
거리리오:거리-(거릴다) + -리 + -오.
주019)
소배:솝(속) + 애.
주020)
옷곳호:옷곳-(향그럽다, 향기롭다) + -오- + -ㅁ + .
주021)
뎘:뎔(절) + ㅅ.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