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香散
木香 丁香 桂枝 陳皮 半夏 赤茯苓 人蔘 訶子【煨】 大腹皮【酒洗】 前胡 甘草【炙各三分】
右剉生薑三片水煎服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목향산주001) 목향산(木香散):목향산은 마마 때 배가 불러 오르고 설사하며 갈증이 나는 것은 위 속에 진액이 적은 것인데 이 때는 목향산을 쓴다.
은 목향
뎡향주002) 뎡향:정향.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따라서 ‘뎡향〉졍향〉정향’으로 소리가 변동되어 쓰였다.
계지 딘피 반하 젹복녕 인 아 구으니 대복피 술의
싯고주003) 싯고:씻고. 기본형은 ‘싯다’이고 경음화에 따라서 ‘싯다〉씻다’로 변동되었음.
젼호 감초 구으니 각 세푼 이 싸라 강 세 편과 달혀 머기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목향산은 목향과 정향, 계지, 진피와 반하, 적복령과 인삼, 가자를 구운 것과 대복피를 술에 씻고 전호와 감초를 구워서 각 세 푼 이를 썰어 생강 세 조각과 달여 먹이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