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文中曰 輕者作三次出 大小不一 頭而稀少 耳中無 眼中無 根窠紅活 肥滿光澤 重者一齊並出 密如蠶種 稠密無縫 身熱腹脹 耳中有 臍中有 渴瀉不止 頭溫足冷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딘문듕이 오 경니 세 번의 듣[돋]고 크며 져그며 디 아니코 머리과 드므러 쟉고 귀 소개 업고 눈 소개 업고 믿자리
블거 윤고주001) 블거 윤고:부어 통통해 보이고. ‘윤고’는 부어올라 살진 부분이 반들반들해 보이는 것을 이른다.
언해두창집요 상50ㄴ
지며 빋나니라 듕니 디[내]돋고 뵈여 누에 고 뵈여 틈이 업고 몸이 덥달고
턍만 고주002) 턍만 고:배가 부어오르고. 구개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턍〉챵〉배창’으로 소리가 바뀌었다.
귀소개 돋고
주003) :배꼽. ‘’의 제 2음절인 ‘-’에서 음절 도치와 경음화를 따라서 ‘〉곱〉배꼽’으로 바뀌어 소리가 굳어진 것이다.
소개 돋고 갈증과
즈츼기주004) 즈츼기:설사하기. ‘즈츼기’의 ‘즈츠-’는 ‘찌거기’를 뜻하는 ‘즛의(법화 1:189)’에서 비롯하였다. 그러니까 설사를 ‘찌꺼기’와 연관하여 표현한 것이다. 형태변화는 ‘즛의〉즈싀〉즈츼’로 변하여 마찰음의 파찰음화를 거쳐 그 형태가 굳어진 것이다. ‘찌꺼기’도 ‘즛〉짓〉찟’과 같이 변하고 ‘찟+-거기〉찌꺼기’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긋디 아니코 머리 덥고 발 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진문중이 일렀으되, 가벼운 이는 세 번에 돋고 크고 작으며 한결 같지 않다. 머리와 낯에 드물어 작고 귓속에 없고 눈속에도 없고 밑자리가 불거져 통통하게 살져 보이며 빛이 난다.
중한 이는 함께 내돋고 뵈기가 누에씨 같고 틈이 없다. 몸이 덥고 달며 배가 불룩해지고 귓속에 돋고 배꼽 속에 돋고, 갈증과 설사하기 끝나지 않는다. 머리는 덥고 발은 차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