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독을 풀어 마마를 예방하는 처방 002-천금방
千金方曰 小兒初生 啼聲未發 急用綿裹手指頭 拭去口中惡汁 令盡勿嚥入腹 免生痘疹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쳔금방의 오 아기
주001) :갓(이제 막). 중세어에서는 받침에서 ‘ㅅ’과 ‘ㄷ’이 넘나들어 표기되다가 근대에 와서 ‘ㅅ’으로 통일되어 쓰인다. 현대로 와서는 다시 따로 개별화되어 받침에 쓰인다.
나 우룸 소
아녀셔주002) 아녀서:아니하여서. ‘아니여서’가 줄어서 쓰인 형태.
리 픗
소옴주003) 소옴:솜. 소옴〉솜과 같이 음절 축약에 따라서 오늘날에 쓰이고 있다.
을 손락의 가마 아긔 입안해 더러온 거슬
스서주004) 스서:씻어. 기본형은 ‘싯다’임. ¶ 싯고 學에 가 스승님의 읍고[洗臉學裏 師傅上唱口若]〈박통사 상:44~45〉.
업시 야
디주005) 아니면 두창이 업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천금방에 이르기를, 아기가 갓 태어나 울음소리를 아직 내지 않았을 때 빨리 풀솜을 손가락에 감아 아기 입안에 더러운 것을 없이 하고 삼키지 아니 하게 하면 마마가 없느니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