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태독을 풀어 마마를 예방하는 처방[解毒免痘方]
  • 단방 2-생지황(生地黃)
메뉴닫기 메뉴열기

단방 2-생지황(生地黃)


生地黃自然汁 令兒服三 蜆殼利下惡物 可稀痘府後方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언해두창집요 상7ㄴ

디황 연즙을 가막죠개 겁질로 세주001)
-식:
-씩. 각각 같은 수효를 나타내는 접미사. 경음화에 따라 ‘식〉씩’이 되었음.
머겨 모딘 거슬주002)
모딘 거슬:
나쁜 것을(좋지 않은 배설물을). ‘모딜다〉모질다’는 구개음화에 따른 소리의 변화임.
즈츼여주003)
즈츼여:
설사하여. 기본형은 ‘즈츼다’임. 뜻은 달라졌지만 어원으로 보면 ‘즈츼다〉지치다’가 되어 오늘에 쓰인다. 힘이 빠지고 시달림을 겪었을 때, ‘지치다’고 함도 설사에서 비롯한 말이다.
누면 역글 드믈게 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생지황 자연즙을 모시조개 껍질로 세 번씩 먹여 모진 것을 설사하게 하면 마마를 드물게 한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식:-씩. 각각 같은 수효를 나타내는 접미사. 경음화에 따라 ‘식〉씩’이 되었음.
주002)
모딘 거슬:나쁜 것을(좋지 않은 배설물을). ‘모딜다〉모질다’는 구개음화에 따른 소리의 변화임.
주003)
즈츼여:설사하여. 기본형은 ‘즈츼다’임. 뜻은 달라졌지만 어원으로 보면 ‘즈츼다〉지치다’가 되어 오늘에 쓰인다. 힘이 빠지고 시달림을 겪었을 때, ‘지치다’고 함도 설사에서 비롯한 말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