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學正傳曰 痘脚稀踈 根窠紅活 不瀉不渴 乳食不減 四肢溫和 身無大熱已 此六證 並不服藥自愈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언해두창집요 상47ㄴ
의졍뎐의 오 도거시 드믈고 믿자리 븕거 윤고 즈츼디 아니며
갈티주001) 갈티:갈급하지(마르지). 기본형은 ‘갈다’이고 형태분석은 ‘갈-(어간)+-디(부사형어미)’이다. 구개음화에 따라서 ‘-디〉-지’로 소리가 변동되었다.
아니코
졋주002) 졋:젖. 단모음화와 받침소리의 파찰음화를 따라서 ‘졋〉졎〉젖’으로 그 소리가 변동되었다.
과 밥을
더디 아니코주003) 더디 않고:덜지 않고. 기본형은 ‘덜다’인데 ‘ㄹ’이 떨어지고 구개음화에 따라서 ‘-디〉지’가 되었다.
손발이 고 몸애 큰 열이 업면 이 여 증에 약 아녀도 됸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의학정전에 일렀으되, 돋은 것이 드물고 밑자리가 붉어 윤팽하고 설사하지 않으며 마르지 않고 젖과 밥을 덜지 않고 손발이 따스하고 몸에 큰 열이 없으면 이 여섯 증에 약이 아니라도 좋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