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허약한 증세와 튼실한 증세를 가림[辨虛實證]
  • 허약한 증세와 튼실한 증세를 가림 006-의학정전 3
메뉴닫기 메뉴열기

허약한 증세와 튼실한 증세를 가림 006-의학정전 3


又曰 陽證則 足脛熱 兩腮紅 大便秘 小便赤 渴不止 上氣急 脉洪數【已上不可服熱藥】 陰證則足脛冷 腹虛冷 糞靑色 面晄白 嘔乳食 目睛靑 脉深數【已上不可服冷藥】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 오 열코 실 증은 발목이 덥고 두 이 븕

언해두창집요 상57ㄴ

고 대변이 굳고 쇼변이 븕고 목 라 갈고 긔운이 올라 고 이 굵고 니주001)
니:
잦은 이, 기본형은 ‘다’이고 형태분석은 ‘ -(어간)+--(현재선어말어미) +-ㄴ(관형형어미)+이(의존명사)’와 같다. 뒤 음절의 니은 소리에 동화되어 ‘-+〉’으로 소리가 변한 형태이다. ¶말 주심이 조[賜告者數]〈소학언해 6:37〉.
이 증에 열 약 머기미 가티 아니니라 고 허 증은 발목이 고  허고 견매주002)
견매:
대변.
프르고 치 희고 젓과 밥을 토고 눈 주003)
눈 :
눈동자. 반치음의 약화, 탈락하여 ‘〉’가 되었다. ¶睛 눈〈훈몽자회중 상:25〉.
프르고 이 라디고주004)
이 라디고:
맥이 갈아 앉고(자주 뛰지 않고). 구개음화에 따라서 ‘라디다〉라지다’로 소리가 바뀌었다.
니  약 머구미주005)
머구미:
먹음이. 기본형은 ‘먹다’이고 형태분석은 ‘먹-(어간)+-우-(의향법선어말어미)+-이(주격조사)’와 같다.
가티 아니 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또 일렀으되, 열이 나고 실한 증세는 발목이 덥고 두 뺨이 붉다. 대변이 굳고 소변이 붉으며 목말라 하고 기운이 올라 갑갑하며 맥이 굵고 잦으니 이 증세에는 열나는 약 먹임이 옳지 않다. 차고 허약한 증세는 발목이 차며 배가 빈 듯 차다. 대변이 푸르고 낯이 희고 젖과 밥을 토하고 눈자위가 푸르며 맥이 깔아지고 잦은 이는 찬 약을 먹음이 좋지 않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잦은 이, 기본형은 ‘다’이고 형태분석은 ‘ -(어간)+--(현재선어말어미) +-ㄴ(관형형어미)+이(의존명사)’와 같다. 뒤 음절의 니은 소리에 동화되어 ‘-+〉’으로 소리가 변한 형태이다. ¶말 주심이 조[賜告者數]〈소학언해 6:37〉.
주002)
견매:대변.
주003)
눈 :눈동자. 반치음의 약화, 탈락하여 ‘〉’가 되었다. ¶睛 눈〈훈몽자회중 상:25〉.
주004)
이 라디고:맥이 갈아 앉고(자주 뛰지 않고). 구개음화에 따라서 ‘라디다〉라지다’로 소리가 바뀌었다.
주005)
머구미:먹음이. 기본형은 ‘먹다’이고 형태분석은 ‘먹-(어간)+-우-(의향법선어말어미)+-이(주격조사)’와 같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