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발열 3일[發熱三日]
  • 마마를 판정하는 증상 005-이명지
메뉴닫기 메뉴열기

마마를 판정하는 증상 005-이명지


李明之辨痘瘡法 呵欠 噴嚔 耳尖冷 眼澁 睡中急驚 卒暴壯熱 股膚繃急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언해두창집요 상11ㄴ

니명지주001)
니명지:
이명지. 두음법칙과 구개음화에 따라 ‘니〉이’로 쓰인다.
의 역 리 분변 법은 하외욤과 욤과 귇닙주002)
귇닙:
귓불(귓바퀴의 아래쪽으로 늘어진 살). 현대국어로 오면 명사 사이에 ‘ㅅ’이 사이시옷으로 쓰임(귇닙〉*귓잎). 그러나 *귓잎이란 말은 쓰이지 않고 ‘귓불’로 바뀌었다.
니주003)
니:
찬 이(사람). 기본형은 ‘다[冷]’임. 형태분석은 ‘-(어간)+-ㄴ(관형형어미)+이(의존명사)’임.
과 눈 저븐저븐주004)
저븐저븐:
떫은 모양(힘없이 침침한 모양)[澁].
니과  잘 제 과이주005)
과이:
갑자기[急]. ¶과이 라오디 말며〈소학언해 3:12〉.
놀라니과 믄득주006)
믄득:
생각이 갑자기 떠오르는 모양. 원순모음화에 따라서 ‘믄득〉문득’이 되었음.
거르기주007)
거르기:
크게.
열니과 피뷔주008)
피뷔:
피부가. 형태분석은 ‘피부+-ㅣ(주격조사)’임.
지여주009)
지여:
처져[繃]. 기본형은 ‘지다’로 추정됨. ¶ 나려지거고〈청구영언 100〉.
니 다 역질 증휘라주010)
증휘라:
증거가 될 만한 기미라. 형태분석은 ‘증후(證候)(명사)+-ㅣ라(서술격조사)’임.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이명지의 마마와 홍역을 분별하는 방법은, 하품과 재채기와 설사하기와 귓불이 찬 이와 눈이 힘없이 침침한 이와 잠잘 때 갑자기 놀라는 이와 문득 크게 열나는 이와 피부가 처지고 팽팽한 이는 다 마마를 앓을 증후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명지:이명지. 두음법칙과 구개음화에 따라 ‘니〉이’로 쓰인다.
주002)
귇닙:귓불(귓바퀴의 아래쪽으로 늘어진 살). 현대국어로 오면 명사 사이에 ‘ㅅ’이 사이시옷으로 쓰임(귇닙〉*귓잎). 그러나 *귓잎이란 말은 쓰이지 않고 ‘귓불’로 바뀌었다.
주003)
니:찬 이(사람). 기본형은 ‘다[冷]’임. 형태분석은 ‘-(어간)+-ㄴ(관형형어미)+이(의존명사)’임.
주004)
저븐저븐:떫은 모양(힘없이 침침한 모양)[澁].
주005)
과이:갑자기[急]. ¶과이 라오디 말며〈소학언해 3:12〉.
주006)
믄득:생각이 갑자기 떠오르는 모양. 원순모음화에 따라서 ‘믄득〉문득’이 되었음.
주007)
거르기:크게.
주008)
피뷔:피부가. 형태분석은 ‘피부+-ㅣ(주격조사)’임.
주009)
지여:처져[繃]. 기본형은 ‘지다’로 추정됨. ¶ 나려지거고〈청구영언 100〉.
주010)
증휘라:증거가 될 만한 기미라. 형태분석은 ‘증후(證候)(명사)+-ㅣ라(서술격조사)’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