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마마가 돋는 3일[出痘三日]
  • 마마가 돋을 때 증상 010-고금의감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마마가 돋을 때 증상 010-고금의감 1


古今醫鑑曰 凡發熱一日 卽見紅點 此由毒氣大盛 故出速 宜用化毒湯 加紫草紅花蟬殼 凉血解毒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고금의감의 오 덥 다라 알 만 즉제 블근 뎜이 비취 이 독긔 장 셩모로주001)
셩모로:
왕성하므로[盛]. 기본형은 ‘셩다’이고, 형태분석은 ‘셩-(어간)+-모로(구속형어미)’임.
수이 돋니 맛당이 화독탕의 초과 홍화과주002)
홍화과:
홍화와. ‘-과’는 받침 있는 말 아래 쓰이는 연결조사로서 ‘-와’가 옴이 옳다.
션각을 가야 혈긔 게 며 독긔 플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고금의감에 일렀으되, 열이 나고 아픈 지 하루 만에 즉시 붉은 점이 비치는 이는 독기가 가장 심하므로 쉽게 돋으니 마땅히 화독탕에 자초와 홍화와 선각을 더하여 피를 차게 하며 독기를 풀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셩모로:왕성하므로[盛]. 기본형은 ‘셩다’이고, 형태분석은 ‘셩-(어간)+-모로(구속형어미)’임.
주002)
홍화과:홍화와. ‘-과’는 받침 있는 말 아래 쓰이는 연결조사로서 ‘-와’가 옴이 옳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