錢仲陽曰 瘡疹乃五臟毒 若出歸一證 肝水疱 肺膿疱 心爲癍 脾爲疹 腎雖無證 其候惡者 瘡變
倒靨주001) 도엽(倒靨):마마의 구슬 속에 고름이 빠져서 딱지가 앉아야 되는데 앉지 못하는 것.
而
黑陷주002) 흑함(黑陷):마마의 구슬이 잘 내돋지 못하는 것.
則歸腎矣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젼듕양이 오 창딘은 오장읫 독긔
어니와주003) -어니와:-거니와. ‘독긔’의 아래 ‘-거니와’가 쓰였는데, 독긔의 ‘긔’가 하강 반모음 ‘ㅣ’의 영향으로 기역이 떨어져 ‘-거니와〉-어니와’가 되었다.
만일에
도면주004) 도면:돋으면. 기본형은 ‘돋다’임. ¶라미 나그내 오 불어 돋니[風吹客衣日杲杲]〈두시언해초 8:31〉. 형태분석은, ‘돋-(어간)+--(매개모음)+-으면(구속형 연결 어미)’과 같다.
증이 되니 간장은
슈푀오주005) 슈푀오:수포이오(물거품이오). ‘슈포〉수포’는 단모음화이며 슈포의 모음과 ‘-이오’의 ‘이’가 아울러 쓰인 보기로 ‘-이고〉-이오’는 ‘ㅣ’ 모음 아래 기역이 떨어진 형태임.
폐장은 농포오 심장은 반이 되고 비장은 딘이 되니
언해두창집요 상2ㄴ
신장은 비록 증이 업스나
사오나오니주006) 사오나오니:사나운 것은. 기본형은 ‘사오납다’임. ¶부톄 布施 나라샤 사오납다 니시니[佛訶布施샤 言爲劣시니]〈금강경삼가해 3:44〉. 형태분석은, ‘사오납-(어간)+-오-(삽입 모음)+-ㄴ(관형형어미)+이’와 같다. 연철이 되면서 ‘사오나오니’이 되었다.
변 야
디고주007) 디고:꺼지고. 기본형은 ‘디다’임. ¶사라셔 디니〈남명집 하:42〉. ‘디-’의 ‘디’는 구개음화에 따라 ‘지’가 되었다.
거므면 신장의 가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전중양이 일렀으되, 창진은 오장의 독기거니와 만일 돋으면 하나의 증거가 된다. 간에서는 거품이 되고, 폐에서는 고름이 된다. 심장에서는 얼룩이 되고 지라에서는 부스럼이 된다. 콩팥에서는 비록 증거가 없다고 하더라도 심한 경우는 부스럼이 변하여 꺼지고 다시 검게 되면 콩팥으로 간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