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발열 3일[發熱三日]
  • 마마를 판정하는 증상 002-화제방
메뉴닫기 메뉴열기

마마를 판정하는 증상 002-화제방


和劑方曰 瘡疹之證乍熱乍凉 呵欠煩悶咳嗽噴嚔只惡熱不惡風 或發驚搐渾身熱甚一向發熱者是也 或發熱煩躁臉赤脣紅身疼頭痛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화졔방의 오 역 증은 더우락 락 며주001)
더우락 락 며:
덥다가 춥다가 하면서. ‘-락’은 반복의 연결어미임.

언해두창집요 상10ㄴ

하외욤 고 답답여 머주002)
하머:
하면. 경상도 지역의 방언이며 더러는 ‘하모’라고도 한다.
기츰 깃고주003)
기츰 깃고:
기침 나고. 전설모음화에 따라서 ‘기츰〉기침’이 된다.
욤주004)
욤:
재채기.
며 열을 슬희여주005)
슬희여:
싫어. 기본형은 ‘슬희다’. 전설모음화에 따라서 ‘슳다〉싫다’로 굳어졌다.
고  슬희여 아니며 혹 놀라 뒤틀며 온 몸애 얼[열]이 심고 티주006)
티:
한결같이.
발열 니 이 증이라 혹 발열야 답답며 과 입시울주007)
입시울:
입술. ‘입시울〉입슐〉입술’의 축약과 단모음화의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입술’이 되었다.
이 블그며 머리과 몸을 알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화제방에 일렀으되, 마마의 증후는 덥다가 춥다가 하면서 하품 나고 답답하면 기침과 재채기를 하게 되고 뜨거운 것을 싫어하며 바람은 싫어하지 않는다. 혹은 놀라 온몸이 뒤틀리며 열이 나고 한결같이 열이 나는 것이 이러한 증거라. 혹은 열이 나 답답하고 뺨과 입술이 붉고 머리와 몸이 아프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더우락 락 며:덥다가 춥다가 하면서. ‘-락’은 반복의 연결어미임.
주002)
하머:하면. 경상도 지역의 방언이며 더러는 ‘하모’라고도 한다.
주003)
기츰 깃고:기침 나고. 전설모음화에 따라서 ‘기츰〉기침’이 된다.
주004)
욤:재채기.
주005)
슬희여:싫어. 기본형은 ‘슬희다’. 전설모음화에 따라서 ‘슳다〉싫다’로 굳어졌다.
주006)
티:한결같이.
주007)
입시울:입술. ‘입시울〉입슐〉입술’의 축약과 단모음화의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입술’이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