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증상의 길흉 분별[辨吉凶證]
  • 증상의 길흉 분별 002-의학입문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증상의 길흉 분별 002-의학입문 2


又曰 痘自頂額上陽位起且稠者 固凶 然遍身變壞 獨頂額上不變則吉 貫膿時 變成水疱 惟額上不破者 可治 收靨時 敗證悉見 惟頂額上未靨如舊者 可生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언해두창집요 상46ㄴ

 오 역기 니마주001)
니마:
이마. 두음법칙을 따라서 구개음화된 니은을 피하여 ‘니마〉이마’로 소리가 바뀌어 굳어진 것이다. 옛말에서는 ‘니마〉님〉임’으로 소리가 변하여 쓰이는데 기원적인 뜻은 ‘해’를 뜻한다. ¶泥谿-日溪, 熱也山-尼山, にほん-日本.
뎡바기로주002)
뎡바기로:
정수리에. 단모음화와 구개음화에 따라서 ‘뎡바기〉졍바기〉정바기-정수리’로 되었으나 오늘날은 ‘정수리’로 쓰인다.
몬져 돋고 뵈니 진질[실]로 사오납거니와 그려도 온몸이 다 헤여디되 오직 니마히 변티 아니면 길고 곪길 제 변야 믈거품티 되요 오직 니마히 변야 허디주003)
허디:
헐지. 기본형은 ‘헐다’이고 형태분석을 하면 ‘헐-(어간)+-디(부사형어미)’이다. 구개음화에 따라서 ‘헐디〉헐지’로 소리의 변동이 일어났다.
아니면 가히 고텨 내고 더데 지을 제 모딘 증이 다 나되주004)
나되:
나오되. 기본형은 ‘납다’에서 소리가 약화, 탈락하여 ‘납-(어간)+-되(구속형어미)’와 같이 형태분석을 할 수 있다.
오직 니마히 그저 이시면 사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또 일렀으되, 마마가 이마와 정수리에 먼저 돋고 빽빽한 이는 정말로 위험하다. 그래도 온몸이 다 헤지되 오직 이마가 변하지 않으면 좋다. 곪을 제 변하여 거품같이 되되 오직 이마가 변하여 헐지 않으면 고칠 수 있다. 딱지 앉을 때, 모진 증후가 다 나오되 이마만 그냥 있으면 산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마:이마. 두음법칙을 따라서 구개음화된 니은을 피하여 ‘니마〉이마’로 소리가 바뀌어 굳어진 것이다. 옛말에서는 ‘니마〉님〉임’으로 소리가 변하여 쓰이는데 기원적인 뜻은 ‘해’를 뜻한다. ¶泥谿-日溪, 熱也山-尼山, にほん-日本.
주002)
뎡바기로:정수리에. 단모음화와 구개음화에 따라서 ‘뎡바기〉졍바기〉정바기-정수리’로 되었으나 오늘날은 ‘정수리’로 쓰인다.
주003)
허디:헐지. 기본형은 ‘헐다’이고 형태분석을 하면 ‘헐-(어간)+-디(부사형어미)’이다. 구개음화에 따라서 ‘헐디〉헐지’로 소리의 변동이 일어났다.
주004)
나되:나오되. 기본형은 ‘납다’에서 소리가 약화, 탈락하여 ‘납-(어간)+-되(구속형어미)’와 같이 형태분석을 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