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마마가 곪는 3일[貫膿三日]
  • 마마가 곪는 3일 009-만병회춘
메뉴닫기 메뉴열기

마마가 곪는 3일 009-만병회춘


萬病回春曰 九日十日回水之時 元氣熏蒸 眞陽運化 其水自然消爍 此循環之妙理也 若未曾解毒 則至此時 水不能化 反歸于胃 胃病則不能貫膿成就 或致吐瀉陷伏 宜用<용어 realname="">定中湯【方見嘔吐】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만병회츈주001)
만병회춘(萬病回春):
명나라 공정현이 1587년에 지은 종합의서. 모두 8권으로 되어 있음. 1권은 총론이고, 2권에서부터 8권까지는 각 과의 병증 증상과 치료를 기술하고 있다.
에 오 도 아래 열흘 믈 돌 시저 [] 긔운이 훈증야 양긔 운동야 그 믈이 절로 라 니 이 긔운이 도라가 묘리라 일즉 독긔를 프디 아녀시먼 이 예 다라주002)
다라:
다다라. 기본형은 ‘다다’이고, ‘ㄷ’ 불규칙 동사임. 형태분석은 ‘다(어간)+-아(부사형어미)’와 같다. 현대어에서는 기본형이 ‘다다르다’이다. ¶人定 붑 다 후에 자 니거든[至人定鍾然後에 歸寢이어든]〈소학언해 6:95〉.
그 믈이

언해두창집요 상32ㄴ

변화티 몯야 도로 위예 드니 위 곳 병들면 능히 고롬믈 올려 일위 되디 몯야 혹 토며 즈츼며 디믈 닐위니주003)
닐위니:
이르나니. 기본형은 ‘닐위다’이고, 형태분석은 ‘닐위-(어간)+-니(설명형어미)이다. 두음법칙과 단모음화에 따라 ‘닐위다〉일위다〉일우다〉이르다’로 변하여 오늘에 쓰이고 있다.
뎡듕탕을 미 맏당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만병회춘에 일렀으되, 아흐레 열흘이 되어 물이 돌아 잡힐 때, 원기가 찌는 듯이 덥고 양기가 작용하여 그 물이 저절로 사라져 마른다. 이는 기운이 돌아가는 묘한 이치다. 일찍 독기를 풀지 않으면 이때에 그 물이 변화하지 못하여 도로 위에 든다. 위가 병들면 능히 고름을 올려 이루어지지 못하여 혹 토하고 설사하며 꺼짐을 이른다. 정중탕을 씀이 마땅하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만병회춘(萬病回春):명나라 공정현이 1587년에 지은 종합의서. 모두 8권으로 되어 있음. 1권은 총론이고, 2권에서부터 8권까지는 각 과의 병증 증상과 치료를 기술하고 있다.
주002)
다라:다다라. 기본형은 ‘다다’이고, ‘ㄷ’ 불규칙 동사임. 형태분석은 ‘다(어간)+-아(부사형어미)’와 같다. 현대어에서는 기본형이 ‘다다르다’이다. ¶人定 붑 다 후에 자 니거든[至人定鍾然後에 歸寢이어든]〈소학언해 6:95〉.
주003)
닐위니:이르나니. 기본형은 ‘닐위다’이고, 형태분석은 ‘닐위-(어간)+-니(설명형어미)이다. 두음법칙과 단모음화에 따라 ‘닐위다〉일위다〉일우다〉이르다’로 변하여 오늘에 쓰이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