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증상의 경중과 순함을 분별[辨輕重順逆]
  • 증상의 경중과 순함을 분별 004-진문중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증상의 경중과 순함을 분별 004-진문중 2


又曰 輕變重者犯房室 不忌中 先會渴 飮冷水 餌凉藥 重變輕者 避風寒 常和煖 大便稠 不燥渴 忌生冷 忌外人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 오 경 증이 듕증 변여 되오 아비 어미 방 거나주001)
방 거나:
성적 관계를 갖거나. 여기 ‘방사(房事)’라 함은 부부간의 성관계를 이른다.
머글 거슬 디주002)
디 아니커나:
가리지 아니하거나. ‘디’의 기본형은 ‘다’기고 형태분석은 ‘-(어간)+-디(부사형어미)‘이다. ‘-디’는 구개음화에 따라서 ‘디〉지’로 바뀌어 굳어진 형태이다.
아니커나 일즉 야  믈을 만히 먹거나  약글 머구미오 듕 증이 변여 경히 되 풍한을 피여 

언해두창집요 상51ㄱ

양 덥게 고 대변이 되며 갈티 아니미 을 금긔며주003)
을 금긔며:
날것과 찬 것을 피하며.
밧사주004)
밧사:
밖의 사람. 여기 ‘밧’은 밖의 사람, 곧 외부인을 뜻한다. ‘밧’은 기역 특수곡용을 하는 명사로서 기역과 시옷이 아예 녹아붙어 오늘의 ‘밖’으로 굳어진 말인바, 그 과정을 풀어 보이면 ‘밧〉밧ㄱ〉〉밖’으로 바뀌어 쓰이게 되었다. 받침에서 이렇게 소리가 바뀐 것은 자음역행동화에 따른 것이다.
금긔 호미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또 일렀으되, 가벼운 증세가 무거운 증세로 변하게 됨은, 아비와 어미가 잠자리를 함께 하거나 먹을 것을 가리지 않거나 일찍이 목이 말라 찬 물을 많이 먹거나 찬 약을 먹음이요, 중한 증세가 변하여 가벼운 증세로 됨은 찬 밞을 피하여 늘 덥게 하고 대변이 되고 목마르지 않음이 날것과 찬 것을 피하며 밖의 사람 만남을 금하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방 거나:성적 관계를 갖거나. 여기 ‘방사(房事)’라 함은 부부간의 성관계를 이른다.
주002)
디 아니커나:가리지 아니하거나. ‘디’의 기본형은 ‘다’기고 형태분석은 ‘-(어간)+-디(부사형어미)‘이다. ‘-디’는 구개음화에 따라서 ‘디〉지’로 바뀌어 굳어진 형태이다.
주003)
을 금긔며:날것과 찬 것을 피하며.
주004)
밧사:밖의 사람. 여기 ‘밧’은 밖의 사람, 곧 외부인을 뜻한다. ‘밧’은 기역 특수곡용을 하는 명사로서 기역과 시옷이 아예 녹아붙어 오늘의 ‘밖’으로 굳어진 말인바, 그 과정을 풀어 보이면 ‘밧〉밧ㄱ〉〉밖’으로 바뀌어 쓰이게 되었다. 받침에서 이렇게 소리가 바뀐 것은 자음역행동화에 따른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