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마마와 독역과 홍역의 증상[痘癍疹形色]
  • 마마와 독역과 홍역의 증상 002-왕호고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마마와 독역과 홍역의 증상 002-왕호고 1


王好古曰 瘡疹之狀 皆五臟之液 肝主淚 肺主涕 心主血 脾爲裹血 其瘡出 有五名 肝爲水疱 色靑稍小 肺爲膿疱 色白而大 心爲癍 色赤而小 脾爲疹 色赤黃而小 涕淚出多 故膿疱水疱 皆大血榮於內 所出不多 故癍疹皆小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왕호괴 오 창딘 얼굴이 다 오장의 믈 니 간장은 눈믈이오주001)
눈믈이오:
눈물이오. ‘눈믈〉눈물’이 된 것은 원순모음화에 따라서 ‘믈〉물’이 되어 굳어진 형이다. 중세어 시기의 ‘물[衆]’은 다른 뜻으로 쓰인다. ¶사 무레 사니고도〈석보상절 6:5〉. 오늘날에 와서는 ‘믈〉물’이 물[水]을, 옛날의 물[群]은 ‘무리’로 장형화되어 동음충돌을 피하였다.
폐장은 곳믈이오 심장은 피오 비장은 피를 니주002)
니:
쌓나니(저장하니). 기본형은 ‘다[築]’임. 형태분석은 ‘-(어간)+-ㄴ(음운 첨가)+-니(설명형 어미)’임. ¶다시 미[新打築]〈박통사신석언해 1:12〉.
이러로 창딘이 도매주003)
도매:
돋으매. 기본형 ‘돋다[發]’이다. 형태분석은 ‘돋[發]-(어간)+-으(매개모음)-+-매(구속형 어미)와 같다.
다 일훔주004)
일훔:
이름. ‘일훔〉이룸〉이름’이 되어 오늘날에 쓰임.
이 인니라 간장은 슈푀 되니 비치 프르

언해두창집요 상3ㄱ

고 잠 쟉고 폐장은 농푀 되니 빋치 희고 크고 심장은 반이 되니 빋치 븕고 쟉고 비장은 딘이 되니 빋치 븕고 누르고 횩니라주005)
횩니라:
적나니라. 기본형은 ‘횩다[少, 細]’임. ¶어르누근 돌 효가 돈 도다[錦石如錢]〈두시언해초 20:2〉.
콛믈과 눈믈과 만히 나모로 농포과 슈포 다 굵고 피 안해주006)
안해:
안에. 형태분석은 ‘안ㅎ+-애(처소격 조사)’이며, 연철이 되어 ‘안해’가 됨. 중세어 ‘안’은 히읗 말음 특수 곡용을 하는 명사임.
잇고 만히 나디 아니모로 반과 딘은 다 쟉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왕호고가 일렀으되, 부스럼의 모습이 다 오장의 물과 같다. 간은 눈물로, 폐에서는 콧물로, 심장은 피로, 지라에서는 피를 모아 놓는 것이다. 이러므로 부스럼이 돋음에 다섯 가지 이름이 있다. 간은 수포요, 그 빛이 푸르고 점차 작아진다. 폐는 농포이니 빛이 희고 크다. 심장은 흉터 곧 반이 되니 빛이 붉고 작으며 자라는 부스럼이 되니 빛이 붉고 누르며 작다. 콧물과 문물이 많이 나므로 농포와 수포는 다 굵고 피는 다 안에 있으며 많이 나지 않으므로 반과 진은 다 작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눈믈이오:눈물이오. ‘눈믈〉눈물’이 된 것은 원순모음화에 따라서 ‘믈〉물’이 되어 굳어진 형이다. 중세어 시기의 ‘물[衆]’은 다른 뜻으로 쓰인다. ¶사 무레 사니고도〈석보상절 6:5〉. 오늘날에 와서는 ‘믈〉물’이 물[水]을, 옛날의 물[群]은 ‘무리’로 장형화되어 동음충돌을 피하였다.
주002)
니:쌓나니(저장하니). 기본형은 ‘다[築]’임. 형태분석은 ‘-(어간)+-ㄴ(음운 첨가)+-니(설명형 어미)’임. ¶다시 미[新打築]〈박통사신석언해 1:12〉.
주003)
도매:돋으매. 기본형 ‘돋다[發]’이다. 형태분석은 ‘돋[發]-(어간)+-으(매개모음)-+-매(구속형 어미)와 같다.
주004)
일훔:이름. ‘일훔〉이룸〉이름’이 되어 오늘날에 쓰임.
주005)
횩니라:적나니라. 기본형은 ‘횩다[少, 細]’임. ¶어르누근 돌 효가 돈 도다[錦石如錢]〈두시언해초 20:2〉.
주006)
안해:안에. 형태분석은 ‘안ㅎ+-애(처소격 조사)’이며, 연철이 되어 ‘안해’가 됨. 중세어 ‘안’은 히읗 말음 특수 곡용을 하는 명사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