定中湯 收斂胃氣 止吐瀉 神妙 取眞正黃色土 不雜砂石者一塊 置椀內 以百沸湯泡之 以盖合定候溫 右用兩酒盞和水 飛朱砂末五分水 飛雄黃末一錢 少加砂糖 溫服二服 立止【萬病回春】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뎡듕탕주001) 뎡듕탕:정중탕. 단모음화와 구개음화, 그리고 두음법칙에 따라서 ‘뎡듕탕〉정중탕’으로 소리가 변동하였다.
은 위긔를 거두어 보고
구토과주002) 구토과:구토와. 옛말에서는 이렇게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공동격 조사 ‘-과’가 오는 경우가 있다.
셜샤를주003) 셜샤를:설사를. 마찰음 아래 오는 이중 모음이 모두 단모음으로 되는 단모음화를 따라서 ‘셜샤〉설사’로 소리가 변동되었다.
그치기
신긔로이주004) 신긔로이:신기롭게. 단모음화를 따라서 ‘신긔로이〉신기로이’로 소리가 변하였다. ‘-이’는 부사화 접미사로 쓰였다.
됴니주005) 됴니:좋으니. 기본형은 ‘둏다’이고 형태분석은 ‘둏-(어간)+--(매개모음)+-니(설명형어미)’와 같다.
진짓 누른
몰래 돌과주006) 몰래 돌과:모래와 돌과. 기본형은 ‘몰개'인데 리을 아래 기역의 탈락으로 ‘몰개〉몰애〉모래’로 연철되어 굳어져 쓰인다.
더러운 것 업스니 덩이를 사발 담고 일 번
글흔주007) 글흔:끓인. 기본형은 ‘긇다’인데 경음화를 따라서 ‘긇다〉끓다’로 변동하였다.
믈 븟고
두에주008) 다다 둣다가 믜근거든 두 졉잔 만여
슈비주009) 수비(水飛):곡식의 가루나 그릇을 만드는 흙을 물에 넣고 휘저어 잡된 물건을 없애는 하는 일. 단모음화를 따라서 ‘슈비〉수비’와 같이 소리가 변동하였다.
쥬사 다 푼과 슈비 셕웅황
언해두창집요 상66ㄴ
돈 플어 사당 죠곰 녀허 머그면 즉시
귿니라주010) 귿니라:그친다. 기본형은 ‘귿다’이고 ‘-니라’는 서술형 조결어미다.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정중탕은 위기를 거두어 보하고 구토와 설사를 그치게 하는데 신기할 정도로 좋다. 누른 흙에 모래 돌과 더러운 것 없는 것 한 덩이를 사발에 담고 일백 번 끓은 물을 붓고 뚜껑을 닫아 두었다가 미지근하거든 술잔 두 개와 물에 씻은 주사 가루 다섯 푼과 주비와 웅황 가루 한 돈을 풀어 사탕 가루 조금 넣어 먹으면 즉시 그친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