延生第一方服之 終身永無瘡疹及諸疾 十分妙法 小兒初生 臍帶脫落 取置新瓦上炭火燒存性硏
언해두창집요 상4ㄴ
爲末若有五分重入水飛朱砂末二分半以生地黃當歸身濃煎汁一蜆殼調和抹兒口上㬽及乳母乳頭上 令兒嚥下 次日 大便下穢惡之物 是效
【古今醫鑑】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연뎨일방을 머기면 죵신토록 창딘이며
잠[잡]병주001) 이 영영히 업니 장 신묘 법이라 아기 나
복주002) 복:배꼽. ‘복〉배꼽’이 된 것은 음절 내 음운 도치에 따라 이루어진 형태로, ‘복〉곱〉배꼽’의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형태로 굳어진 것임.
줄기
러디거든주003) 러디거든:떨어지거든. 기본형은 ‘러디다’임. 형태분석은 ‘러디[落]-(어간)+-거든(구속형어미)’와 같다. ¶落 러딜〈신증유합 하:55〉.
새
디새주004) 디새:기와. ‘디새〉기와’는 일종의 부정회귀 현상으로 ‘디새〉지새〉기와’의 과정을 겪은 것으로 보임. 본디 ‘디새’란 흙으로 만든 이엉과 같은 물건을 이른다. 디새의 ‘디-’는 흙을 이르는 ‘딜’에서 비롯하였다(딜〉질 ; 디〉지).
우희주005) 우희:땅 위에. 형태분석하면, ‘우ㅎ+-의(부사격 조사)’인데, 연철에 따라서 ‘우희’로 쓰였다. 이르자면 ‘우’는 ㅎ특수곡용 체언으로 자동교체를 하다가 근대 현대국어로 오면서 없어져 버리거나 화석화되어 버렸다.
연[] 숫블에 검게
라주006) 라:살라[燒]. 기본형은 ‘르다’인데, 형태분석을 하면, ‘르-(어간)+-이(부사화어미)’로, 음운탈락에 따라서 ‘르이〉리’로 변하였다.
라
라주007) 라:만들어. 기본형은 ‘다’이고 ㄹ변칙 활용을 한다. 형태분석을 하면, ‘-(어간)+아(부사형 어미)’인데, 연철로 표기되었다. ¶뢰어 리 고 증병에 라[焙乾爲末蒸餠和]〈언해두창집요 하:27〉. ‘글다’는 이형태임.
그 리 다 푼이어든 슈비 쥬사 두 푼반을 녀허 디황과
당귀주008) 당귀(當歸):당귀의 효능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고려시대 목귀초(目貴草), 당적(當赤)이라고도 하였으며, 1600년대에는 숭엄초 불휘라고도 하였다. 다른 이름으로 숙근초(宿根草)라고도 한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 비타민 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이것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현저하여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나 혈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면 장운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이 밖에도 빈혈로 오는 두통, 관절염 등에 널리 사용한다.
* 보혈(補血) 기능 : 십전대보탕의 처방은 사물탕(혈을 보해주는 처방)과 사군자탕(기를 보해주는 처방)에 바깥을 지켜주는 황기와 안을 데워주는 육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물탕에 대표약이 당귀다. 즉 피를 만드는 약이다. 여기서 당귀는 보혈 즉 피의 성분이 되는 약이다.
* 활혈(活血) 기능 : 당귀는 혈액을 잘 흐르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대표적인 처방으로 당귀수산이라는 처방이 있는데, 이 처방은 당귀의 뿌리가 주로 많이 쓰인다. 여기서 당귀는 피멍을 제거하고 진통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래서 타박상이나 산후에 배속에 피멍이 있는 경우 피를 잘 흐르게 해서 어혈을 제거하게 된다.
* 변비 치료 : 당귀는 변비에 쓰인다. 당귀가 가지고 있는 보혈기능과 함께 장을 움직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혈액이 부족해서 장이 잘 안 움직이는 경우 보혈기능과 장을 움직이는 기능으로 변을 잘 볼 수 있게 한다.
* 자궁 수축 기능 : 당귀는 임산부가 출산하기 전에 복용을 하게 되면 출산 시에 자궁의 수축력을 키워주며, 자궁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 머리를 검게, 머리가 안 빠지게 함 : 당귀는 머리에 작용해서 나쁜 기운을 밑으로 끌고 내려가며 머리에 피가 많이 가게 해서 머리가 빠지거나 희게 되는 것을 막아준다.
신 달힌 믈 가막 죠개 겁질로 나만 야 그
주009) :가루를. 기본형은 ‘’인데, 설측음화에 따라서 ‘’로 적혔다.
아주010) 긔 입안 하
우콰주011) 우콰:위와. ‘우’는 ㅎ종성체언으로 형태분석하면, ‘우ㅎ+-과(공동격 조사)’인데, 연철되어 격음화에 따라서 그리 적혔다.
어믜 젇리 우희 라 아기
언해두창집요 상5ㄱ
머겨 라 이튼날 대변의 더러운 거시 나니 이 효험이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연생제일방을 먹이면 죽음에 이르도록 마마며 여러 가지 병이 오래도록 걸리지 않는다. 가장 신통한 방법은 아기 갓나 배꼽 줄기가 떨어지거든 새 기왓장 위에 얹고 숯불에 검게 살라 가루 만들어 그 가루 다섯 푼이면 수비 주사 가루 두 푼반을 넣어 생지황과 당귀를 달인 물과 가막조개 껍질로 하나만 하여 그 가루를 타서 아기 입안 천장과 어미의 젖 뿌리 위에 발라 아기 먹여 삼키게 하라. 이튿날 대변의 더러운 것이 나오느니 이것이 효험이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