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증상의 길흉 분별[辨吉凶證]
  • 증상의 길흉 분별 009-만병회춘
메뉴닫기 메뉴열기

증상의 길흉 분별 009-만병회춘


언해두창집요 상49ㄱ

萬病回春曰 不治證有六 一者 初出勇壯 二者 出如蠶種 三者 隨出隨沒 四者 如蚊蟲咬 五者 倒出 六者 飮水如促鼻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만병회츈주001)
만병회춘(萬病回春):
한의학 전문서적. 이 책은 명나라 의사 공신이 지은 〈고금의감(古今醫鑑)〉을 저본으로 하여 그의 아들이 지은 것을 번역한 것으로 모든 병의 증상과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실었다.
에 오 고티디 몯 증이 여 가지 인니 나 쳐엄주002)
쳐엄:
처음. 기원형은 ‘쳐’인데 소리의 약화, 탈락과 단모음화 및 모음이화에 따라서 ‘쳐〉쳐엄〉처음’으로 바뀌어 굳어져 쓰인다. ¶각심이 쳐엄 셔[覺心初建]〈원각경언해 하2-1:17〉.
돋기를 래 셩히 틴주003)
셩히 틴 :
많은 어려움을 주는 듯. ‘티다’는 ‘어려움을 주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괴로움을 주다’로 새김이 좋다.
니오 둘재 누에나븨주004)
누에나븨:
누에 나비가. 주격조사 ‘-이’가 동음생략을 따라서 영형태(零形態)로 쓰였음.
알슨 시 도니오 셋재 도며 믿 바다〔닥〕스니오 넷재 도 거시 모긔주005)
모긔:
모기가. 단모음화에 따라서 ‘모긔〉모기’로 되어 쓰임. 동음생략을 따라서 주격조사 ‘-이’가 영형태로 쓰였다.
믄  니오 다재 갓고로주006)
갓고로:
거꾸로. 자음역행동화와 모음이화에 따라서 ‘갓고로〉거꾸로’로 소리가 바뀌어 굳어진 것임.
돋니오 여재 믈 머그면 고 마킨 주007)
고 마킨 :
코가 막힌 듯. ‘고’는 히읗 종성체언인데 유기음화에 따라서 ‘고〉코’가 되어 쓰인다. 지금도 ‘고뿔감기’에서처럼 옛말이 그대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만병회춘에 일렀으되, 고치지 못할 증세 여섯 가지가 있다. 하나는 처음 돋기를 빠르게 괴로움을 줌이요, 둘째는 누에 나비가 알을 쓸 듯이 돋는 것이요, 셋째는 돋으며 밑바닥에 쓰는 것이요, 넷째는 돋은 것이 모기가 문 데와 같은 것이요, 다섯째는 거꾸로 돋는 것이요, 여섯째는 물 먹으면 코 막힌 듯한 것이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만병회춘(萬病回春):한의학 전문서적. 이 책은 명나라 의사 공신이 지은 〈고금의감(古今醫鑑)〉을 저본으로 하여 그의 아들이 지은 것을 번역한 것으로 모든 병의 증상과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실었다.
주002)
쳐엄:처음. 기원형은 ‘쳐’인데 소리의 약화, 탈락과 단모음화 및 모음이화에 따라서 ‘쳐〉쳐엄〉처음’으로 바뀌어 굳어져 쓰인다. ¶각심이 쳐엄 셔[覺心初建]〈원각경언해 하2-1:17〉.
주003)
셩히 틴 :많은 어려움을 주는 듯. ‘티다’는 ‘어려움을 주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괴로움을 주다’로 새김이 좋다.
주004)
누에나븨:누에 나비가. 주격조사 ‘-이’가 동음생략을 따라서 영형태(零形態)로 쓰였음.
주005)
모긔:모기가. 단모음화에 따라서 ‘모긔〉모기’로 되어 쓰임. 동음생략을 따라서 주격조사 ‘-이’가 영형태로 쓰였다.
주006)
갓고로:거꾸로. 자음역행동화와 모음이화에 따라서 ‘갓고로〉거꾸로’로 소리가 바뀌어 굳어진 것임.
주007)
고 마킨 :코가 막힌 듯. ‘고’는 히읗 종성체언인데 유기음화에 따라서 ‘고〉코’가 되어 쓰인다. 지금도 ‘고뿔감기’에서처럼 옛말이 그대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