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마마의 독기를 푸는 처방[解痘毒]
  • 흑산자(黑散子)
메뉴닫기 메뉴열기

흑산자(黑散子)


언해두창집요 상45ㄴ

黑散子解痘毒初出服此便消不出 臘月猪糞缾子盛瓦片盖口火煆存性硏細每二錢新水調下【聖濟總錄】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흑산 역 독긔 프러 리니  도 제 이를 머기면 믄득 라디고 돋디 아닌니 납평 닐[달]눈 도 을주001)
도 을:
돼지의 똥을. 형태분석을 하면 ‘돝(체언)+-(관형격조사)’과 같다. 형태의 변동은 ‘돋〉돝’과 같이 유기음화된다. ¶돋뎌[猪](신증유합 상:14), 돋시[豕]〈훈몽자회 상:19〉. ‘’은 시옷계 합용병서 표기이며 ‘뒤〉뒹〉둥〉동〉〉똥’의 변화를 거쳐 오늘에 이른 말이다. 기원적으로 ‘뒤’ 곧 음식을 소화시킨 뒤의 배설물을 이른다. ‘뒤’는 히읗 종성체언인데 히읗이 받침에서 이응(ㆁ)으로 바뀐 결과다. 이르자면 ‘집우ㅎ〉지붕, ㅎ〉땅’이 된 것과 같은 경우다.
병의 담고 디새로 부리주002)
부리:
(병의) 주둥이.
더퍼 블에 검게 라 셰말야주003)
셰말야:
고운 가루로 만들어. 단모음화에 따라서 ‘셰말〉세말’이 되었고 이는 한글맞춤법의 한자 표기에서도 복모음의 한자음 표기에서도 마찬가지다.
두 돈식  믈에 플어 머기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흑산자는 마마의 독기를 풀어버린다. 갓 돋을 제 이를 먹이면 문득 사라지고 돋지 아니한 이를 납평 달에 눈 돼지 똥을 병에 담고 기와 조각으로 병의 주둥이를 덮고 불에 검게 태워 가늘게 갈아 두 돈씩 찬 물에 풀어먹이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 을:돼지의 똥을. 형태분석을 하면 ‘돝(체언)+-(관형격조사)’과 같다. 형태의 변동은 ‘돋〉돝’과 같이 유기음화된다. ¶돋뎌[猪](신증유합 상:14), 돋시[豕]〈훈몽자회 상:19〉. ‘’은 시옷계 합용병서 표기이며 ‘뒤〉뒹〉둥〉동〉〉똥’의 변화를 거쳐 오늘에 이른 말이다. 기원적으로 ‘뒤’ 곧 음식을 소화시킨 뒤의 배설물을 이른다. ‘뒤’는 히읗 종성체언인데 히읗이 받침에서 이응(ㆁ)으로 바뀐 결과다. 이르자면 ‘집우ㅎ〉지붕, ㅎ〉땅’이 된 것과 같은 경우다.
주002)
부리:(병의) 주둥이.
주003)
셰말야:고운 가루로 만들어. 단모음화에 따라서 ‘셰말〉세말’이 되었고 이는 한글맞춤법의 한자 표기에서도 복모음의 한자음 표기에서도 마찬가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