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學入門曰 凡出靨從頭至足爲順從足至頭爲逆頭脚齊出齊靨者險 輕者靨出俱從頭至足痘亦稀少重者稠密頭上未出未靨脚上先出先靨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의입문의 오
믈읫주001) 믈읫:무릇. 원순모음화와 단모음화를 따라서 ‘믈읫〉물읏〉무릇’으로 소리가 바뀌어 굳어진 형태이다. 소리가 이어남에 따라서 ‘물읏〉무릇’으로 됨은 소리 중심의 연음이 되기 때문이다.
더데 짓기주002) 더데 짓기:헌데 딱지 짓기. ‘더데’는 ‘군더더기’라 할 때, ‘더더기’라 보면 된다. ‘더데’는 ‘덛-돋’과 같이 위로 아니면 옆으로 불쑥 튀어나온 부분을 이른다.
머리로조차 발애 니르미 슌고 발로조차 머리예 니르미 역고 머리과 발과 도다 더데 진니 험니라 경니 돋기를 머리로셔 발애 니르고 드믈고 듕니 뵈요 돋고
머리예주003) 머리예:머리에. ‘ㅣ’모음 순행동화를 따라서 ‘머리에〉머리예’로 되어 쓰인 것이다.
돋디 몯며 더데 몯 지어셔 발애 몬져 돋고
몬져주004) 몬져:먼저. 단모음화와 모음변이를 따라서 ‘몬져〉먼저’로 굳어져 오늘에 쓰이고 있다. 일종의 모음동화라고 할 수 있다. 음성모음끼리의 어울림이라고 하겠다.
더데 짓
언해두창집요 상51ㄴ
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의학입문에 일렀으되, 무릇 딱지가 생김은 머리로부터 발에 이르도록 순한 것이다. 발로부터 머리에 이르는 것은 힘든 것이다. 머리와 발과 함께 돋아 함께 딱지가 생기는 것은 위험하다. 가벼운 것은 돋기를 머리로부터 발에 이르는 것인데 또한 드물다. 중한 것은 뵈게 돋고 머리에 돋지 못하며 딱지를 못 지어서 발에 먼저 돋고 먼저 딱지가 생긴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