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상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상(諺解痘瘡集要 卷上)
  • 마마가 돋는 3일[出痘三日]
  • 자초음(紫草飮)
메뉴닫기 메뉴열기

자초음(紫草飮)


紫草飮治出不快
紫草二兩剉投白沸湯一椀中以物合定勿今漏氣溫服半合至一合瘡卽出【本草】 ○諸證辨疑曰治痘瘡紫草皆當用茸有發出之功今用根反利大便戒之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초음은 쾌히 돋디 아닌니 고티니 초 두 냥을 싸라 일 번 글흔주001)
글흔:
끓은. 기본형은 ‘긇다’이고, 형태분석은 ‘긇-(어간)+-으-(매개모음)+-ㄴ(관형형어미)와 같다. 경음화에 따라 ‘긇다〉끓다’로 소리가 바뀌었음. ¶沸涫也 글타 湯沸〈사성통해 중 4:17〉.
믈  사발의 드리티고주002)
드리티고:
들이고[投]. 기본형은 ‘드리티다’와 같다.
아모 거로 마[막]고 다다 긔운 아니 나게 더퍼 두

언해두창집요 상22ㄱ

고 양 반 홉식  홉식 드시 야 머기면 즉제 됸니라 ○졔증변의예 오 역 고티 초 다 주003)
삭:
싹.
 야 내분 공이 잇거늘 이제 불휘를 모로 즈츼니주004)
즈츼니:
설사하니. 기본형은 ‘즈츼다’이고, 형태분석은 ‘즈츼-(어간)+-니(설명형어미)’임. 전설모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 ‘즈츼다〉지치다’가 되어 오늘에 쓰인다. 뜻이 바뀌어 ‘설사하다’에서 ‘힘이 없고 시달리다’의 뜻으로 쓰임.
조심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월 일

자초음은 빨리 돋지 않는 이를 고친다. 자초 두 냥을 썰어 일백 번 끓인 물 한 사발에 넣어 아무것이라도 막고 닫아 기운 안 나가게 덮어두고 꾸준히 반 홉씩 한 홉씩 따듯하게 하여 먹이면 즉시 좋아진다. ○여러 증세에 대하여 일렀으되, 마마를 고치는 자초를, 모두 그 싹을 써야 내붓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 약은 뿌리를 쓰므로 설사하는 것을 조심하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글흔:끓은. 기본형은 ‘긇다’이고, 형태분석은 ‘긇-(어간)+-으-(매개모음)+-ㄴ(관형형어미)와 같다. 경음화에 따라 ‘긇다〉끓다’로 소리가 바뀌었음. ¶沸涫也 글타 湯沸〈사성통해 중 4:17〉.
주002)
드리티고:들이고[投]. 기본형은 ‘드리티다’와 같다.
주003)
삭:싹.
주004)
즈츼니:설사하니. 기본형은 ‘즈츼다’이고, 형태분석은 ‘즈츼-(어간)+-니(설명형어미)’임. 전설모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 ‘즈츼다〉지치다’가 되어 오늘에 쓰인다. 뜻이 바뀌어 ‘설사하다’에서 ‘힘이 없고 시달리다’의 뜻으로 쓰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