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보현보살권발품 제28
  • 4. 법화행자를 수호할 것을 서원하다 [1] 외난을 수호하다
메뉴닫기 메뉴열기

4. 법화행자를 수호할 것을 서원하다 [1] 외난을 수호하다



〔본문〕

법화경언해 권7:167ㄱ

그  普賢菩薩이 부텻긔 오샤 世尊하 後五百歲 濁惡世 中에 이 經典 受持리 이시면 내 반기 守護야 그 衰 시르믈 더러 安隱을 得게 야 그 便을 여 주001)
여:
엿보아. -+어. 현대국어의 파생동사 ‘엿보다’는 역사적으로는 합성동사였다.
求야 得리 업게 호리니 魔ㅣ며 魔子ㅣ며 魔女ㅣ며 魔民이며 魔 着홈 외니며 夜叉 주002)
야차(夜叉):
8부중의 하나. 나찰과 함께 비사문천왕의 권속으로, 북방을 수호함. ‘포악(暴惡)’이라 번역함.

법화경언해 권7:167ㄴ

ㅣ며 羅刹 주003)
나찰(羅刹):
비사문천왕의 권속. ‘악귀(惡鬼)’라 번역함.
이며 鳩槃茶 주004)
구반다(鳩槃茶):
귀신의 일종. 사람의 정기를 먹는다고 함.
ㅣ며 毗舍闍 주005)
비사사(毗舍闍):
시체를 먹는 악귀.
ㅣ며 吉蔗 주006)
길자(吉蔗):
시체에 붙는 귀신.
ㅣ며 富單那 주007)
부단나(富單那):
귀신의 일종. ‘취예(臭穢)’라 번역. 열병 귀신. 건달파와 함께 지국천의 권속으로, 동방을 수호함.
ㅣ며 韋陀羅 주008)
위타라(韋陀羅):
기시귀(起尸鬼).
等 여러 가짓 사 보차 주009)
보차:
보채는. 해치는.
거시 다 便을 得디 몯리다

〔본문〕 그 때에 보현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시되, “세존이시여, 후5백세 탁악세(더럽고 악한 세계) 중에 이 경전을 수지할 사람이 있으면 제가 반드시 수호하여 그 쇠한 시름을 덜어 안은함을 얻게 하여 그 편리함을 엿보아 구하여 얻을 사람이 없게 하리니, 마(魔)며 마자(魔子)며 마녀(魔女)며 마민(魔民)이며 마(魔)에 붙음이 된 이며 야차며 나찰이며 구반다(鳩槃茶)며 비사사(毗舍闍)며 길자(吉蔗)며 부단나(富單那)며 위타라(韋陀羅) 등 여러 가지 사람 해치는 것이 다 편안함을 얻지 못하리이다.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普賢 常行 외야 주010)
외야:
다시. 동사 ‘외-’가 있고 부사 ‘외’ 또는 ‘외야, 외여, 노외야’가 있다. 부사 ‘외야’는 동사 ‘외-’의 활용형에서 굳어진 것이고, 부사 ‘외’는 동사 ‘외-’에서 영파생된, 소위 어간형부사이다.
己利 업스시고 純히 利他ㅣ실 이브터 다 法化 流通샤 經 디니 사 護持시고 주011)
호지(護持)시고:
‘經 디니 사 護持시고’는 ‘經 디니 사 護시고’의 오역으로 보인다. 원문은 ‘護持經人시고’임.
各別 行相 업스시니라 毗舍闍 보차 주012)
보차:
보채어. 못살게 굴어. 보차-+아. 현대국어의 ‘보채다’는 ‘귀찮게 하다’ 정도의 의미만을 갖지만,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는 ‘중대한 위해를 가하다’의 의미도 갖는다.
害 鬼오 韋陀羅 厭禱鬼라【厭 오누를 주013)
오누를:
가위누르는. 오누르-+ㄹ.

법화경언해 권7:168ㄱ

씨오 禱 빌 씨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보현 상행은 다시는 자기 자신의 이익은 없으시고 순전히 남을 이롭게 하시므로 이로부터 다 법화(法化)가 유통하시어 경전을 지니는 사람을 보호하시고 딴 행상(行相)이 없느니라. 비사사는 보채어 해치는 귀신이고 위타라는 염도귀(厭禱鬼)다【‘염(厭)’은 가위누르는 것이고, ‘도(禱)’는 비는 것이다.】 .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엿보아. -+어. 현대국어의 파생동사 ‘엿보다’는 역사적으로는 합성동사였다.
주002)
야차(夜叉):8부중의 하나. 나찰과 함께 비사문천왕의 권속으로, 북방을 수호함. ‘포악(暴惡)’이라 번역함.
주003)
나찰(羅刹):비사문천왕의 권속. ‘악귀(惡鬼)’라 번역함.
주004)
구반다(鳩槃茶):귀신의 일종. 사람의 정기를 먹는다고 함.
주005)
비사사(毗舍闍):시체를 먹는 악귀.
주006)
길자(吉蔗):시체에 붙는 귀신.
주007)
부단나(富單那):귀신의 일종. ‘취예(臭穢)’라 번역. 열병 귀신. 건달파와 함께 지국천의 권속으로, 동방을 수호함.
주008)
위타라(韋陀羅):기시귀(起尸鬼).
주009)
보차:보채는. 해치는.
주010)
외야:다시. 동사 ‘외-’가 있고 부사 ‘외’ 또는 ‘외야, 외여, 노외야’가 있다. 부사 ‘외야’는 동사 ‘외-’의 활용형에서 굳어진 것이고, 부사 ‘외’는 동사 ‘외-’에서 영파생된, 소위 어간형부사이다.
주011)
호지(護持)시고:‘經 디니 사 護持시고’는 ‘經 디니 사 護시고’의 오역으로 보인다. 원문은 ‘護持經人시고’임.
주012)
보차:보채어. 못살게 굴어. 보차-+아. 현대국어의 ‘보채다’는 ‘귀찮게 하다’ 정도의 의미만을 갖지만,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는 ‘중대한 위해를 가하다’의 의미도 갖는다.
주013)
오누를:가위누르는. 오누르-+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