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1. 무진의 보살이 묻다 1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무진의 보살이 묻다 1



〔본문〕

법화경언해 권7:43ㄱ

그  無盡意菩薩이 즉재 座로셔 주001)
로셔:
-로부터. -에서. 기원적으로 ‘로(부사격조사. [시발])+시-+어’의 구조. ‘시-’는 ‘이시-[有]’의 이형태.
니르샤 주002)
니르샤:
일어나시어. 닐-+으시+아.
올 엇게 메와시고 주003)
메와시고:
벗으시고. 메왓-[袒]+시+고.
合掌 向佛샤 이 마 오샤 주004)
오샤:
아뢰시되. /오-+시+아+. ‘-아-’는 ‘-오/우-’의 이형태.
世尊하 觀世音菩薩은 엇던 因緣으로 일후미 觀世音이시니고

〔본문〕 그 때에 무진의보살이 즉시 자리에서 일어나시어 오른 쪽 어깨를 벗으시고 합장 향불하시어 이 말씀을 아뢰시되,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은 어떤 인연으로 이름이 관세음이십니까?”


〔요해〕

법화경언해 권7:43ㄴ

 주005)
:
앞으로. 한자어는 장차(將次)임. 이 어휘는 정음으로 적히는 일이 종종 있음.
普門을 나토려 주006)
나토려:
나타내려. 낱-[現]+오(사동접미사)+리+어.
샤 無盡意 因샤 니와샤 주007)
니와샤:
일으키심은. 니/니르/닐-[起](자동사어간)+(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시+아+ㅁ+. ‘-아-’는 ‘-오/우-’의 이형태.
普門 圓行 주008)
원행(圓行):
원교의 수행.
이 應야 現샤미 다 주009)
다:
다함이. 다-[盡]+ㄹ(명사형 어미)+ㅅ. ‘-ㄹ, -ㄴ’이 명사형 어미의 기능을 가지는 현상이 있었음. ‘ㅅ’의 기능은 분명치 않으나 발음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기호로 보임. 흔히 이것이 주격조사의 기능도 가진다고 설명하나, 그것은 주어 위치에 쓰인 결과적 사실에 말미암은 것일 뿐임.
업스샤 表시니라 若愚ㅣ 讚야 닐오 世界 주010)
:
끝. →(8종성표기).
업서 듣그리 주011)
듣그리:
티끌이. 듣글+이.
擾擾며【擾擾 어즈러울 씨라】 衆生이 數 업서 業이 茫茫며【茫茫 넙고 큰 라 주012)
라:
모습이다. +ㅣ+라. ‘’는 한자어(樣子)이나, 정음으로 적힌 것은 당시에 이 어휘가 국어에 많이 동화되었음을 보여 준다.
愛河 주013)
애하(愛河):
애욕은 사람을 빠지게 하므로 강에 비유함.
믿 주014)
믿:
밑바닥. 밑→믿(8종성표기).
업서 믌겨리 滔滔 이런로 내 일후미 無盡意라 니 觀音ㅅ 行도  이 시니라

〔요해〕 장차 보문을 나타내려 하시어 무진의를 인으로 삼아 일으키심은 보문 원행이 응하여 나타나심이 다함 없으심을 표하심이니라. 약우가 찬하여 이르되, 세계가 끝이 없어 티끌이 요요하며【요요는 어지러운 것이다.】 중생이 수 없어 망망하며【망망은 넓고 큰 모습이다.】 애하가 밑바닥이 없어 물결이 도도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내 이름이 무진의라 하니, 관음의 행도 또 이 같으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44ㄱ

이브터 名字 受持호매 니르린 주015)
니르린:
이르기까지는. 니를-+이(부사파생접미사)+ㄴ(보조사).
일후미 주016)
일후미:
이름이. 일후-+ㅁ(명사파생접사)+이. ‘일훔’은 동사의 명사형으로 쓰이기도 한다.
十四無畏功德이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여기서부터 ‘이름자 수지함[受持名字]’에 이르기까지는 이름이 14무외공덕이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로셔:-로부터. -에서. 기원적으로 ‘로(부사격조사. [시발])+시-+어’의 구조. ‘시-’는 ‘이시-[有]’의 이형태.
주002)
니르샤:일어나시어. 닐-+으시+아.
주003)
메와시고:벗으시고. 메왓-[袒]+시+고.
주004)
오샤:아뢰시되. /오-+시+아+. ‘-아-’는 ‘-오/우-’의 이형태.
주005)
:앞으로. 한자어는 장차(將次)임. 이 어휘는 정음으로 적히는 일이 종종 있음.
주006)
나토려:나타내려. 낱-[現]+오(사동접미사)+리+어.
주007)
니와샤:일으키심은. 니/니르/닐-[起](자동사어간)+(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시+아+ㅁ+. ‘-아-’는 ‘-오/우-’의 이형태.
주008)
원행(圓行):원교의 수행.
주009)
다:다함이. 다-[盡]+ㄹ(명사형 어미)+ㅅ. ‘-ㄹ, -ㄴ’이 명사형 어미의 기능을 가지는 현상이 있었음. ‘ㅅ’의 기능은 분명치 않으나 발음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기호로 보임. 흔히 이것이 주격조사의 기능도 가진다고 설명하나, 그것은 주어 위치에 쓰인 결과적 사실에 말미암은 것일 뿐임.
주010)
:끝. →(8종성표기).
주011)
듣그리:티끌이. 듣글+이.
주012)
라:모습이다. +ㅣ+라. ‘’는 한자어(樣子)이나, 정음으로 적힌 것은 당시에 이 어휘가 국어에 많이 동화되었음을 보여 준다.
주013)
애하(愛河):애욕은 사람을 빠지게 하므로 강에 비유함.
주014)
믿:밑바닥. 밑→믿(8종성표기).
주015)
니르린:이르기까지는. 니를-+이(부사파생접미사)+ㄴ(보조사).
주016)
일후미:이름이. 일후-+ㅁ(명사파생접사)+이. ‘일훔’은 동사의 명사형으로 쓰이기도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