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9. 게송을 설하다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9. 게송을 설하다 18



〔본문〕

법화경언해 권7:97ㄴ

妙音 觀世音 梵音 海潮音 주001)
해조음(海潮音):
소리가 큰 것을 해조에 비유한 것.
이 뎌 世間音에 더으니 주002)
더으니:
더하니. 더 나으니. 더으-[勝]+니. 그 앞의 ‘-에’는 비교부사격조사.
이런로 모로매 녜 念야 念念에 疑心 내디 마롤 띠니라

〔본문〕 묘음 관세음 범음 해조음이 저 세간음보다 나으니, 이런 까닭으로 모름지기 항상 염불하여 모든 생각에 의심을 내지 말지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98ㄱ

觀音 주003)
ㅅ: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行이 妙音 주004)
에:
비교부사격조사.
다디 아니샤 能히 妙 브터 너브신 주005)
너브신:
넓으신[普]. 넙-+으시+ㄴ.
다로 주006)
다로:
덕택으로. 닷+로. 닷〉탓. 현대국어 ‘탓’은 결과가 부정적인 내용일 때에 사용되나, 중세국어의 ‘닷’은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에 다 쓰인다.
두 號 兼시니라 說法을 걸이디 주007)
걸이디:
걸리지. 막히지. 걸-[滯]+이(피동접미사)+디.
아니샤로 妙音이시고 소릴 조샤 受苦 救샤로 觀音이시고 音性에 着 업스샤로 梵音이시고 應샤 時節 일티 아니샤로 潮音이시니 이 世間音에 더으샨 주008)
더으샨:
더하신. 더 나으신[勝].
고디시니라 이 한 德이 실 모로매 녜 念와  업스며 疑心 아니오면 觀行智力이 서르 應

법화경언해 권7:98ㄴ

티 아니샤미 업스시리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관음의 행이 묘음과 다르지 아니하시되 능히 묘에 따라서 넓으신 덕택으로 두 이름을 겸비하시니라. 설법을 걸리지[滯] 아니하심으로 묘음이 되시고, 소리를 좇아서 고통을 구하심으로 관음이 되시고, 음성(音性)에 착(着)이 없으심으로 범음이 되시고, 응하심을 때를 잃지 아니하심으로 조음이 되시니, 이것이 세간음보다 더 나으신 것(=까닭)이시니라. 이 많은 덕이 갖추어지셨으므로 모름지기 항상 염불하와 〈쉴〉 사이 없으며 의심 아니하오면 관행지력이 서로 응하지 아니하심이 없으시리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해조음(海潮音):소리가 큰 것을 해조에 비유한 것.
주002)
더으니:더하니. 더 나으니. 더으-[勝]+니. 그 앞의 ‘-에’는 비교부사격조사.
주003)
ㅅ:‘-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주004)
에:비교부사격조사.
주005)
너브신:넓으신[普]. 넙-+으시+ㄴ.
주006)
다로:덕택으로. 닷+로. 닷〉탓. 현대국어 ‘탓’은 결과가 부정적인 내용일 때에 사용되나, 중세국어의 ‘닷’은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에 다 쓰인다.
주007)
걸이디:걸리지. 막히지. 걸-[滯]+이(피동접미사)+디.
주008)
더으샨:더하신. 더 나으신[勝].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