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9. 게송을 설하다 4
메뉴닫기 메뉴열기

9. 게송을 설하다 4



〔본문〕

법화경언해 권7:88ㄱ

시혹 須彌峯애 이셔  주001)
:
남에게.
미리와다 주002)
미리와다:
밀쳐져서. 밀-+이(피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아.
듀미 주003)
듀미:
떨어짐이[墮]. -[浮]+어(연결어미)+디-(피동 보조동사)+오/우+ㅁ+이.
외야도 뎌 觀音 念혼 히므로  虛空애 住며 시혹 모딘 주004)
모딘:
모진. 악한. 모딜-+ㄴ.
사 초 주005)
초:
쫓음을. 추격함을.
니버 金剛山애 러디여도 주006)
러디여도:
떨어져도. -[拂]+어+디-(피동 보조용언)+어+도. ‘디-’는 원래 [落]을 뜻하던 동사였다.
뎌 觀音 念혼 히므로 能히  터럭도 損티 몯며 주007)
손(損)티 몯며:
주어가 선행절의 주어와 다르다.

〔본문〕 혹 수미봉에 있어 남에게 밀쳐져서 떨어짐이 되어도 저 관음을 염한 힘으로 해가 허공에 머무르듯 하며, 혹 악한 사람의 좇음을 입어 금강으로 된 산에 떨어져도 저 관음을 염한 힘으로 능히 하나의 털도 손상시키지 못하며,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니샤 놉고 나미 주008)
나미:
날카로움이. 나-[利]+아+ㅁ+이. ‘-아-’는 ‘-오/우-’의 이형태.
至極 도 주009)
도:
곳에도. +/의(부사격조사. 생략.)+도.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오히려 能히 損티 몯곤 주010)
몯곤:
못하거늘. 몯+-(탈락)+곤.
며

법화경언해 권7:88ㄴ

져근 難이녀 주011)
이녀:
‘-이녀’의 ‘-어’는 해체 등급의 종결어미이다. 그러므로 ‘-이녀’는 평서문을 구성하기도 하고 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한다. ‘며 져근 難이녀’는 온전한 문장의 형식을 못 갖춘, 말하자면 제시어로 끝나버린 발화이다. 이럴 경우는 의문문이다. ‘-이녀’가 온전한 구조를 갖춘 문장의 서술어에 붙은 경우는 평서문이다. 제시어로 끝난 문장에 ‘엇뎨’가 쓰이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구문이 후행 요소의 절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르시되, 높고 날카로움이 지극한 곳에도 오히려 능히 훼손시키지 못하거늘, 하물며 작은 난이야(어찌 능히 훼손할 수 있겠느냐)?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남에게.
주002)
미리와다:밀쳐져서. 밀-+이(피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아.
주003)
듀미:떨어짐이[墮]. -[浮]+어(연결어미)+디-(피동 보조동사)+오/우+ㅁ+이.
주004)
모딘:모진. 악한. 모딜-+ㄴ.
주005)
초:쫓음을. 추격함을.
주006)
러디여도:떨어져도. -[拂]+어+디-(피동 보조용언)+어+도. ‘디-’는 원래 [落]을 뜻하던 동사였다.
주007)
손(損)티 몯며:주어가 선행절의 주어와 다르다.
주008)
나미:날카로움이. 나-[利]+아+ㅁ+이. ‘-아-’는 ‘-오/우-’의 이형태.
주009)
도:곳에도. +/의(부사격조사. 생략.)+도.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10)
몯곤:못하거늘. 몯+-(탈락)+곤.
주011)
이녀:‘-이녀’의 ‘-어’는 해체 등급의 종결어미이다. 그러므로 ‘-이녀’는 평서문을 구성하기도 하고 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한다. ‘며 져근 難이녀’는 온전한 문장의 형식을 못 갖춘, 말하자면 제시어로 끝나버린 발화이다. 이럴 경우는 의문문이다. ‘-이녀’가 온전한 구조를 갖춘 문장의 서술어에 붙은 경우는 평서문이다. 제시어로 끝난 문장에 ‘엇뎨’가 쓰이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구문이 후행 요소의 절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