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다라니품 제26
  • 6. 나찰녀의 주문 5
메뉴닫기 메뉴열기

6. 나찰녀의 주문 5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본문〕

법화경언해 권7:121ㄱ

부톄 諸羅刹女려 니샤 善哉善哉

법화경언해 권7:121ㄴ

라 너희 오직 能히 法華ㅅ 일훔 受持릴 擁護야도 福이 그지 업거 며 초 受持야 經卷 供養호 華香 瓔珞 주001)
영락(瓔珞):
보배 구슬이나 귀금속을 실에 꿰어 목과 가슴에 거는 장신구.
抹香 주002)
말향(抹香):
가루 향.
塗香 주003)
도향(塗香):
바르는 향.
燒香 주004)
소향(燒香):
태우는 향.
幡盖 주005)
번개(幡盖):
당번과 천개. 당번은 부처나 보살의 위덕을 표시하는 장엄 도구. 천개는 불상을 덮는 비단으로 된 일산.
伎樂과 種種 燈을 혀 蘇燈 주006)
소등(蘇燈):
유락(乳酪)에 향유를 섞어서 켜는 등불.
과 油燈과 諸香油燈과 蘇摩那華油燈 주007)
소마나화유등(蘇摩那華油燈):
소마나화는 황색의 꽃이 피는 향기가 진한 꽃.
瞻蔔華油燈 주008)
첨복화유등(瞻蔔華油燈):
첨복화는 노란 색의 꽃이 피는 향기가 강한 꽃.
과 婆師迦華油燈과 優鉢羅華油燈과 이러틋 百千 가지로 供養닐 擁護호미녀 주009)
호미녀:
함이야? ‘-이녀’의 ‘-어’는 해체 등급의 종결어미이다. 그러므로 ‘-이녀’는 평서문을 구성하기도 하고 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한다. ‘며 져근 難이녀’는 온전한 문장의 형식을 못 갖춘 것이다. 말하자면 제시어로 끝나버린 발화이다. 이럴 경우는 의문문이다. ‘-이녀’가 온전한 구조를 갖춘 문장의 서술어에 붙은 경우는 평서문이다. 제시어로 끝난 문장에 ‘엇뎨’가 쓰이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구문이 후행 요소의 절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皐帝 주010)
고제(皐帝):
나찰녀 중의 아홉째의 이름.
여 너희와 眷屬이 반기 이  法師 擁護홀 띠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본문〕 부처님께서 모든 나찰녀더러 이르시되, “좋구나 좋구나, 너희 오직 능히 법화경의 이름을 수지할 사람을 옹호하여도 복이 한이 없거늘, 하물며 갖추어 수지하여 경권을 공양하되 화향 영락과 말향과 도향과 소향과 번개 기악과, 갖가지 등을 켜되 소등과 유등과 여러 향유등과 소마나화유등과 첨복화유등과 바사가화유등과 우발라화유등과, 이러한 백천 가지로 공양하는 이를 옹호함이야(=그 복이 당연히 한량없이 많지 않겠느냐)? 고제여, 너희와 권속이 반드시 이 같은 법사를 옹호할지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영락(瓔珞):보배 구슬이나 귀금속을 실에 꿰어 목과 가슴에 거는 장신구.
주002)
말향(抹香):가루 향.
주003)
도향(塗香):바르는 향.
주004)
소향(燒香):태우는 향.
주005)
번개(幡盖):당번과 천개. 당번은 부처나 보살의 위덕을 표시하는 장엄 도구. 천개는 불상을 덮는 비단으로 된 일산.
주006)
소등(蘇燈):유락(乳酪)에 향유를 섞어서 켜는 등불.
주007)
소마나화유등(蘇摩那華油燈):소마나화는 황색의 꽃이 피는 향기가 진한 꽃.
주008)
첨복화유등(瞻蔔華油燈):첨복화는 노란 색의 꽃이 피는 향기가 강한 꽃.
주009)
호미녀:함이야? ‘-이녀’의 ‘-어’는 해체 등급의 종결어미이다. 그러므로 ‘-이녀’는 평서문을 구성하기도 하고 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한다. ‘며 져근 難이녀’는 온전한 문장의 형식을 못 갖춘 것이다. 말하자면 제시어로 끝나버린 발화이다. 이럴 경우는 의문문이다. ‘-이녀’가 온전한 구조를 갖춘 문장의 서술어에 붙은 경우는 평서문이다. 제시어로 끝난 문장에 ‘엇뎨’가 쓰이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구문이 후행 요소의 절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주010)
고제(皐帝):나찰녀 중의 아홉째의 이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