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묘장엄왕본사품 제27
  • 2. 정장과 정안의 수행 1
메뉴닫기 메뉴열기

2. 정장과 정안의 수행 1



〔본문〕

법화경언해 권7:127ㄱ

뎌 佛法 中에 王이 이쇼 일후미 妙「莊嚴이오 그 王 夫人은 일후미 淨德이러니 두 아리 이쇼 주001)
:
하나의. 문맥상 ‘첫째의’를 뜻한다.
일후믄 淨藏이오 주002)
두:
두. 문맥상 ‘둘째의’를 뜻한다. 번역의 잘못으로 생각된다.
일후믄 淨眼이러니

〔본문〕 저 부처님 법 가운데 왕이 있으되 이름이 묘장엄이고 그 왕의 부인은 이름이 정덕이더니, 두 아들이 있었는데 첫째의 이름은 정장이고 둘째의 이름은 정안이더니,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淨德은 비록 더러운 모 뵈시나 그 德이 本來 조실 주003)
조실:
깨끗하신. 좋-[淨]+시+ㄹ.
씨오 주004)
씨오:
것이고. ㆆ++이+고/오.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淨藏 妙理의 모 주005)
모:
모인. 몯-[集]+.
시고 주006)
시고:
데이시고. 곳이시고. +∅(서술격조사)+시+고.
淨眼은 妙智의 나신 주007)
나신:
나타나신. 낟-[現]+시+ㄴ. ‘낟-’과 ‘낱-’이 공존함.
니 다 그 德의 샤미라 妙淨理智 실 주008)
실:
갖추셨으므로. -[具]+시+ㄹ. ‘-’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이는 능격동사.
能히 邪 두르

법화경언해 권7:127ㄴ

샤 華德이 외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정덕은 비록 더러운 몸을 보이시나 그 덕이 본래 깨끗하신 것이고, 정장은 묘리가 모인 곳이시고, 정안은 묘지가 나타나신 곳이니, 다 그 덕이 갖추어지심이다. 묘정 이지를 갖추셨으므로 능히 사악함을 돌이키시어 화덕이 되셨다.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하나의. 문맥상 ‘첫째의’를 뜻한다.
주002)
두:두. 문맥상 ‘둘째의’를 뜻한다. 번역의 잘못으로 생각된다.
주003)
조실:깨끗하신. 좋-[淨]+시+ㄹ.
주004)
씨오:것이고. ㆆ++이+고/오.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주005)
모:모인. 몯-[集]+.
주006)
시고:데이시고. 곳이시고. +∅(서술격조사)+시+고.
주007)
나신:나타나신. 낟-[現]+시+ㄴ. ‘낟-’과 ‘낱-’이 공존함.
주008)
실:갖추셨으므로. -[具]+시+ㄹ. ‘-’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이는 능격동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