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묘음보살품 제24
  • 8.묘음보살의 선근과 공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8.묘음보살의 선근과 공덕 2



〔본문〕 부톄 華德菩薩려 니샤 過去에 부톄 겨샤 일후미 雲雷音王 多陀阿伽度 주001)
다타아가도(多陀阿伽度):
여래.
阿羅訶 주002)
아라하(阿羅訶):
응공(應供).
三藐三佛陀 주003)
삼먁삼불타(三藐三佛陀):
정변지(正徧知).
ㅣ러시니 나랏 주004)
나랏:
관형격조사 ‘-ㅅ’은 무정체언 또는 높임 체언 뒤에 쓰임.
일후믄 現一切世間이오 劫 일후믄 喜見이러니

〔본문〕 부처님께서 화덕보살더러 이르시되, “과거에 부처가 계시되, 이름이 운뢰음왕 다타아가도 아라하 삼먁삼불타이시더니, 나라의 이름은 현일체 세간이고 겁 이름은 희견이더니,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24ㄴ

부텻 일훔 雲雷音은  소리로 利히 저지샤 주005)
저지샤:
적시시어. 젖-[潤]+이(사동접미사)+시+아.
群動 여러 알외실 주006)
알외실:
깨우치실. 알-[知]+외(사동접미사). 드물게 ‘알뢰-, 알위-’도 쓰였음. 현대국어 ‘아뢰다’와 달리 [+높임]과 [-높임]의 환경에 두루 쓰였음.
씨라 나랏 일훔 現 一切 世間 根身器界 다 能히 조차 應실 씨라 劫名은 우흘 브터 셔니 利히 저지시며 조차 應실 衆이 즐겨 보올 씨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부처의 이름 운뢰음은 한 소리로 이롭게 적시시어 군동을 열어 깨닫게 하시는 것이다. 나라 이름 현일체세간은 근신기계를 다 능히 좇아 응하시는 것이다. 겁 이름은 위에 의지하여 서니, 이롭게 적시시며 좇아서 응하시므로 대중이 즐겨 뵈옵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다타아가도(多陀阿伽度):여래.
주002)
아라하(阿羅訶):응공(應供).
주003)
삼먁삼불타(三藐三佛陀):정변지(正徧知).
주004)
나랏:관형격조사 ‘-ㅅ’은 무정체언 또는 높임 체언 뒤에 쓰임.
주005)
저지샤:적시시어. 젖-[潤]+이(사동접미사)+시+아.
주006)
알외실:깨우치실. 알-[知]+외(사동접미사). 드물게 ‘알뢰-, 알위-’도 쓰였음. 현대국어 ‘아뢰다’와 달리 [+높임]과 [-높임]의 환경에 두루 쓰였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