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묘음보살품 제24
  • 10. 삼매에 대한 문답 2
메뉴닫기 메뉴열기

10. 삼매에 대한 문답 2



〔본문〕 부톄 華德菩薩려 주001)
려:
-더러. 동사 ‘리-’의 활용형이 보조사로 영파생된 것.
니샤 善男子 주002)
아:
호격조사. /ㅣ/ 외의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 ‘-아’가 쓰이기도 하고 ‘-야’가 쓰이기도 하는데, 교체의 조건은 분명치 않음.
그 三昧 일후미 現一切 色身 주003)
현일체 색신(現一切色身):
보현삼매. 묘음관음과 같이 자재로이 일체 중생의 색신을 나타내는 삼매.
이니 妙音菩薩이 이 三昧 中에 住 能히 이티 無量 衆生 饒益 주004)
요익(饒益):
넉넉하게 다른 사람에게 이익이 되도록 함.
니라

〔본문〕 부처님께서 화덕보살더러 이르시되, “선남자야, 그 삼매 이름이 현일체 색신이니, 묘음보살이 이 삼매 중에 머무시므로 능히 이같이 무량 중생을 요익하느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33ㄱ

조 주005)
조:
깨끗한. 좋-+.
摩尼 주006)
마니(摩尼):
여의주.
주007)
의:
주격조사가 쓰일 자리에 ‘-의’가 쓰임. 원문 ‘隨方現色’을 명사적 성격으로 파악함에 따른 것인 듯함.
方 조차 주008)
빗:
‘빛’의 8종성표기.
나토샤 妙行 流通이 이 니르로매 期限샷다 주009)
샷다:
하셨도다. -+시+아(선어말어미)+ㅅ(감탄선어말어미)+다. ‘-아-’는 ‘-오-’의 이형태인 듯함.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깨끗한 마니가 나라를 따라 빛을 나타내듯 하시어 묘행이 유통함이 이에 이르름에 한정을 지으셨도다.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려:-더러. 동사 ‘리-’의 활용형이 보조사로 영파생된 것.
주002)
아:호격조사. /ㅣ/ 외의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 ‘-아’가 쓰이기도 하고 ‘-야’가 쓰이기도 하는데, 교체의 조건은 분명치 않음.
주003)
현일체 색신(現一切色身):보현삼매. 묘음관음과 같이 자재로이 일체 중생의 색신을 나타내는 삼매.
주004)
요익(饒益):넉넉하게 다른 사람에게 이익이 되도록 함.
주005)
조:깨끗한. 좋-+.
주006)
마니(摩尼):여의주.
주007)
의:주격조사가 쓰일 자리에 ‘-의’가 쓰임. 원문 ‘隨方現色’을 명사적 성격으로 파악함에 따른 것인 듯함.
주008)
빗:‘빛’의 8종성표기.
주009)
샷다:하셨도다. -+시+아(선어말어미)+ㅅ(감탄선어말어미)+다. ‘-아-’는 ‘-오-’의 이형태인 듯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