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보현보살권발품 제28
  • 10. 법화행자는 이러하니라 1
메뉴닫기 메뉴열기

10. 법화행자는 이러하니라 1



〔본문〕

법화경언해 권7:179ㄴ

普賢아 다가 受持 讀誦야 正憶念야 이 法華經을 닷가 니겨 주001)
니겨:
익혀. 닉-[熟]+이(사동접미사)+어.
쓰리 주002)
쓰리:
쓸 사람이. 쓰-+ㄹ+이(의존명사)+∅(주격조사).
이시면 반기 알라 주003)
반기 알라:
여기서는 삽입절로 쓰였음.
이 사 釋迦牟尼佛을 보아 부텻 이블 從야 주004)
이블 종(從)야:
입으로부터.
이 經典을 드로미 주005)
드로미:
듣는 것과. ‘-이’는 이른바 비교부사격조사.
며 반기 알라 이 사

법화경언해 권7:180ㄱ

 釋迦牟尼佛을 供養혼 디며 반기 알라 이 사 부톄 讚歎호 善哉라 혼 디며 주006)
디며:
것이며. +ㅣ(서술격조사 어간)+며.
반기 알라 이 사 釋迦牟尼佛이 소로 머릴 쥬미 외며 반기 알라 이 사 釋迦牟尼 佛 오 주007)
오:
옷의. 옷이. 주격조사 위치에 관형격조사를 쓴 것은 서술어가 명사형(두품)을 취하고 있기 때문.
두푸미 주008)
두푸미:
덮음이. 둪-[覆]+오/우+ㅁ+이.
외니라

〔본문〕 보현아, 만일 수지 독송하여 바르게 생각하여 이 법화경을 닦아 익혀 베껴쓸 사람이 있으면, 반드시 알라, 이 사람은 석가모니불을 보아 부처의 입을 좇아서(=입으로부터) 이 경전을 듣는 것과 같으며, 반드시 알라, 이 사람은 석가모니불을 공양한 것이며, 반드시 알라, 이 사람은 부처가 찬탄하되, 좋구나 한 바가 되며, 반드시 알라, 이 사람은 석가모니불이 손으로 머리를 만짐이 되며, 반드시 알라. 이 사람은 석가모니불 옷이 덮음이 되느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180ㄴ

이 正憶念욘 주009)
욘:
-한. -+요+ㄴ. ‘-요-’는 ‘-오/우-’의 이형태. ‘욘’은 ‘혼’으로도 나타남.
福 도아 펴샤 普賢ㅅ 알 주010)
알:
앞의.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마 일우시니라 釋迦 보와 이블 從와 듣옴 홈 能히 正憶念 면 이 經에 나가 부텨를 보오미라 주011)
보오미라:
뵈옴이라. 보-+/오+ㅁ+이+라. 여기의 ‘-라’는 연결 어미로 보임.
名相애 거디 주012)
거디:
걸리지. 걸-[滯]+디. 자동사. 타동사 ‘걸-[掛]’과 동음이의어로 보인다.
아니며 이 法에 나가 妙애 나가미라 親히 듣오매 주013)
듣오매:
듣자옴과. 이 ‘-애’는 비교부사격조사. ‘-, ‘다-’가 후행함.
다디 아니  니시니라 이 부텨 供養혼 디 외다 샤 能히 佛事호 니시고 부텨 讚歎호미 외다 샤 佛心에 기피 마조 니시고 머리 지샤 果 得호미 그지 주014)
그지:
기한이. (시간적) 기약이. 그지+∅(주격조사). ‘果 得호미 그지 이숌’은 ‘기약도 없이 기다리게 하는 것이 아니라, 머지않아 果를 得할 것임’을 뜻함.

법화경언해 권7:181ㄱ

쇼 니시고 옷 둡다 샤 柔忍行 일우 니시니 다 憶念이 正 다로 주015)
다로:
덕택으로. 닷〉탓. 현대국어 ‘탓’은 결과가 부정적인 내용일 때에 사용되나, 중세국어의 ‘닷’은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에 다 쓰인다.
마초 주016)
마초:
맞추어. 맞-+호(사동접미사). 동사 어간이 영파생에 의해 부사가 됨.
證호미 이 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는 바른 생각을 한 복을 도와 펴시어 보현의 앞의 말을 이루신 것이다. ‘석가모니를 뵙고 입으로부터 듣자옴 같음’이란 말과 같은 것들은 능히 바른 생각을 하면 이 경전에 나아가 부처를 뵈옴이라, 명상(名相)에 걸리지 아니하며 이 법에 나아가 묘(妙)에 나아감이라, 친히 듣자옴과 다르지 아니한 것을 이르신 것이다. ‘이것이 부처를 공양한 것이 된다.’ 하심은 능히 불사(佛事)함을 이르신 것이고, ‘부처가 찬탄함이 된다.’ 하심은 불심에 깊이 맞음을 이르신 것이고, ‘머리를 만지심’은 깨달음을 얻음이 기한이 있음을 이르신 것이고, ‘옷이 덮는다’ 하심은 유인행(柔忍行) 이룸을 이르신 것이니, 다 생각이 바른 덕택으로 맞추어 깨달음이 이와 같으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겨:익혀. 닉-[熟]+이(사동접미사)+어.
주002)
쓰리:쓸 사람이. 쓰-+ㄹ+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003)
반기 알라:여기서는 삽입절로 쓰였음.
주004)
이블 종(從)야:입으로부터.
주005)
드로미:듣는 것과. ‘-이’는 이른바 비교부사격조사.
주006)
디며:것이며. +ㅣ(서술격조사 어간)+며.
주007)
오:옷의. 옷이. 주격조사 위치에 관형격조사를 쓴 것은 서술어가 명사형(두품)을 취하고 있기 때문.
주008)
두푸미:덮음이. 둪-[覆]+오/우+ㅁ+이.
주009)
욘:-한. -+요+ㄴ. ‘-요-’는 ‘-오/우-’의 이형태. ‘욘’은 ‘혼’으로도 나타남.
주010)
알:앞의.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11)
보오미라:뵈옴이라. 보-+/오+ㅁ+이+라. 여기의 ‘-라’는 연결 어미로 보임.
주012)
거디:걸리지. 걸-[滯]+디. 자동사. 타동사 ‘걸-[掛]’과 동음이의어로 보인다.
주013)
듣오매:듣자옴과. 이 ‘-애’는 비교부사격조사. ‘-, ‘다-’가 후행함.
주014)
그지:기한이. (시간적) 기약이. 그지+∅(주격조사). ‘果 得호미 그지 이숌’은 ‘기약도 없이 기다리게 하는 것이 아니라, 머지않아 果를 得할 것임’을 뜻함.
주015)
다로:덕택으로. 닷〉탓. 현대국어 ‘탓’은 결과가 부정적인 내용일 때에 사용되나, 중세국어의 ‘닷’은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에 다 쓰인다.
주016)
마초:맞추어. 맞-+호(사동접미사). 동사 어간이 영파생에 의해 부사가 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