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9. 게송을 설하다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9. 게송을 설하다 14



〔본문〕

법화경언해 권7:93ㄴ

眞觀 주001)
진관(眞觀):
아름다운 눈.
淸淨觀 주002)
청정관(淸淨觀):
맑고 깨끗한 눈.
과 廣大 智慧觀과 悲觀과  慈觀을 녜  주003)
:
늘. 한자어(‘每常’)에서 유래.
보아 울월오져 주004)
울월오져:
우러르고 싶어라. 울월-[仰]+고+지+어(종결어미).
홀 띠니라 주005)
홀 띠니라:
-할지니라. -하여야 할 것이다. 구조적으로는 ‘-+오+ㄹㆆ++ㅣ(서술격조사 어간)+니+라’이나, [당위]를 뜻함.

〔본문〕 진관과 청정관과 광대 지혜관과 비관과 또 자관을 항상 늘 보아 우러르고 싶어라 하고 원할지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94ㄱ

觀音ㅅ 苦 벗기샤 能히 無畏 施시며 얼굴 現샤 衆生 度脫샤미 다 五觀ㅅ 히미실 이 結야 나토시니라 眞은 妄 그치샤 시고 淨은 더러운 것 다리샤 시고 智 惑 허르샤 시고 悲 苦

법화경언해 권7:94ㄴ

샤 주006)
샤:
뽑으심을. 이 책에는 ‘혀-’도 보인다(129ㄴ). [揀. 選]+(강세접미사)+시+아+ㅁ+. ‘-아-’는 ‘-오/우-’의 이형태.
시고 慈 樂 주샤 시니 이 五觀으로 뭀 迷惑 니피실 妄染惑苦ㅣ 念을 應야 滅니 그런 로 울워와 주007)
울워와:
우러러보아. 울월-[仰]+//오+아. 반치음 앞에서 /ㄹ/ 탈락.
븓고져 주008)
븓고져:
의지하고 싶어라. 븥-[依]++고+지+어(종결어미).
녜 願홀 띠니라 그러나 性이 本來 두려이 거늘 迷 因야 妄 니르와며 惑染이 마 날 觀智 만히 시니 眞實로 妄染이 업스면 眞淨이 셔디 아니시리니 眞으로 妄 그츔 주009)
그츔:
그치게 함. 긏-[止]+이(사동접미사)+우+ㅁ.
햇 주010)
햇:
등(等)의. +애+ㅅ.
이 다 聖人 주011)
ㅅ: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不得已 주012)
부득이(不得已):
그만 둘 수 없음.
시니 그럴 楞嚴에 니샤 妄 닐어 眞을 나토면 妄眞이 두 妄 니라 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관음이 고통을 벗기시어 능히 무외를 베푸시며 몸을 나타내시어 중생을 도탈하심이 다 5관의 힘이므로 이에 결론맺어 나타내시니라. 진은 망을 그치게 하심을 쓰시고, 정은 더러운 것 다스리심을 쓰시고, 지는 미혹을 허무심을 쓰시고, 비는 고통을 뽑아내심을 쓰시고, 자는 즐거움을 주심을 쓰시니, 이 5관으로 뭇 미혹을 덮으시므로, 망염 혹고가 염불함을 응하여 멸하나니, 그런 까닭으로 우러러 의지하고 싶어라 하고 항상 원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성이 본래 두루(=완전히) 맑거늘, 미로 인하여 망을 일으키며 혹염이 이미 생겨나므로 관지를 많이 만드시니, 진실로 망염이 없으면 진정이 서지 아니하시리니 ‘진으로 망을 그치게 함’ 등의 일은 다 성인의 부득이한 일이시니, 그러므로 능엄경에서 이르시되, 망(=거짓)을 설하여 진(=참)을 나타내면 망과 진이 두 망(=거짓)임이 같으니라 하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진관(眞觀):아름다운 눈.
주002)
청정관(淸淨觀):맑고 깨끗한 눈.
주003)
:늘. 한자어(‘每常’)에서 유래.
주004)
울월오져:우러르고 싶어라. 울월-[仰]+고+지+어(종결어미).
주005)
홀 띠니라:-할지니라. -하여야 할 것이다. 구조적으로는 ‘-+오+ㄹㆆ++ㅣ(서술격조사 어간)+니+라’이나, [당위]를 뜻함.
주006)
샤:뽑으심을. 이 책에는 ‘혀-’도 보인다(129ㄴ). [揀. 選]+(강세접미사)+시+아+ㅁ+. ‘-아-’는 ‘-오/우-’의 이형태.
주007)
울워와:우러러보아. 울월-[仰]+//오+아. 반치음 앞에서 /ㄹ/ 탈락.
주008)
븓고져:의지하고 싶어라. 븥-[依]++고+지+어(종결어미).
주009)
그츔:그치게 함. 긏-[止]+이(사동접미사)+우+ㅁ.
주010)
햇:등(等)의. +애+ㅅ.
주011)
ㅅ:‘-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주012)
부득이(不得已):그만 둘 수 없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