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다라니품 제26
  • 6. 나찰녀의 주문 4
메뉴닫기 메뉴열기

6. 나찰녀의 주문 4



〔본문〕 諸羅刹女ㅣ 이 偈 니고 부텻긔 오 世尊하 우리 주001)
우리:
중세국어에서는 ‘우리’가 높임법과 무관하게 쓰였다. ‘저희’란 말은 3인칭 복수를 지칭하였다.
도  반기 이 經 受持 讀誦 修行릴 주002)
릴:
하는 사람을. -+ㄹ+이+ㄹ. 여기의 ‘-ㄹ’은 시제와 무관함.
모로 내 擁護야 安隱 得야 여러 가짓 衰患 여희며 한 毒藥이 스러디게 호리다

〔본문〕 모든 나찰녀가 이 게를 이르고 부처님께 아뢰되, “세존이시여, 저희도 또 반드시 이 경전을 수지 독송하는 이를 몸으로 내가(=스스로) 옹호하여 안은함을 얻어서 여러 가지 쇠환을 벗어나며 많은 독약이 없어지게 하겠습니다.”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120ㄴ

이 偈 勅야 呪야 싁싀기 주003)
싁싀기:
엄숙하게. 엄격하게. 싁싁+이.
警戒케 호미라 阿梨樹枝 해 디면 주004)
제:
저절로. ‘제 자신이(스스로)’란 뜻으로도 쓰임. 구조적으로는 ‘저+ㅣ(주격조사)’. ‘:제(상성)’는 주격형이고, ‘제(평성)’는 관형격형임.
닐굽 조가기 외니라 父母 주기며  허로미 三逆이라 기름  주005)
:
짬은. -+오+ㅁ+.
벌에 목수믈 주006)
해:
많이. 하-+이.
주기고 말 놀이며 주007)
놀이며:
놀리며. 희롱하며.
저울 드듸요 주008)
드듸요:
디딤은. 드듸-[躡(디딜 섭)]+오+ㅁ+.
시혹 雷霆의 주규미 외니霆은  울에라 주009)
울에라:
우뢰이다. 울-[鳴]+에+∅(서술격조사 어간)+라. ‘울에〉우뢰’는 한자(雨雷)에 잘못 이끌린 결과임.
다 重 罪라 調達이 아 주010)
아:
예전에. 아+∅(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下]를 뜻하는 말은 ‘아래’임.
佛會예 五百 比丘려 흐터 주011)
흐터:
흩어. 흩-[散]+어.
가니 和合僧 허루미 외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 게는 칙(=경계)하여 주하여(=빌어서) 엄격하게 경계하게 함이다. 아리수 가지는 땅에 떨어지면 저절로 일곱 조각이 되느니라. 부모를 죽이며 중을 비방함이 3역(=세 가지 거스름)이라. 기름을 짬은 벌레의 목숨을 많이 죽이고서 말[斗]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이며(=벌레 목숨을 많이 죽여 기름이 많은 것처럼 속이는 것이고), 저울을 디딤(=밟음)은 혹 천둥이 죽임이 되나니【정(霆)은 빠른 우뢰이다.】, 이는 모두 무거운 죄이다. 조달이 과거에 불회에서 5백 비구를 데리고 흩어져 가니, 이는 화합승을 헐뜯음이 되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우리:중세국어에서는 ‘우리’가 높임법과 무관하게 쓰였다. ‘저희’란 말은 3인칭 복수를 지칭하였다.
주002)
릴:하는 사람을. -+ㄹ+이+ㄹ. 여기의 ‘-ㄹ’은 시제와 무관함.
주003)
싁싀기:엄숙하게. 엄격하게. 싁싁+이.
주004)
제:저절로. ‘제 자신이(스스로)’란 뜻으로도 쓰임. 구조적으로는 ‘저+ㅣ(주격조사)’. ‘:제(상성)’는 주격형이고, ‘제(평성)’는 관형격형임.
주005)
:짬은. -+오+ㅁ+.
주006)
해:많이. 하-+이.
주007)
놀이며:놀리며. 희롱하며.
주008)
드듸요:디딤은. 드듸-[躡(디딜 섭)]+오+ㅁ+.
주009)
울에라:우뢰이다. 울-[鳴]+에+∅(서술격조사 어간)+라. ‘울에〉우뢰’는 한자(雨雷)에 잘못 이끌린 결과임.
주010)
아:예전에. 아+∅(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下]를 뜻하는 말은 ‘아래’임.
주011)
흐터:흩어. 흩-[散]+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