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9. 게송을 설하다 19
메뉴닫기 메뉴열기

9. 게송을 설하다 19



〔본문〕

법화경언해 권7:99ㄱ

觀世音 조 주001)
조:
깨끗한. 좋-[淨]+.
聖人이 苦惱 死厄애 能히 브터 미두리 주002)
미두리:
믿을 만한 이가. 믿-+우+ㄹ+이+∅(주격조사).
외야 一切 功德이 자 주003)
자:
갖추어져. -[具]+아.
慈眼으로 衆生 보아 福聚 바티 그지 업스니 이런로 頂禮홀 띠니라

〔본문〕 관세음 깨끗한 성인이 고뇌와 사액에 능히 의지하여 믿을 만한 이가 되어 일체 공덕이 갖추어져 자비로운 눈으로 중생을 보아 복취가 바다같이 한이 없으니, 이런 까닭으로 정례할지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99ㄴ

觀聽을 돌아드리샤 주004)
돌아드리샤:
‘돌아’는 사동사 ‘도다’의 활용형이다. ‘돌다’의 활용형이라면 ‘도라’가 된다. ‘드리샤’는 ‘들-+이(사동접미사)+시+아’.
여러 가짓 塵妄 여희실 이 니샨 淨聖이시고 뎌 正念 주005)
정념(正念):
8정도의 하나. 수행하기 위해 정신을 집중하는 것.
을 샤 福力을 빌이실 이 니샨 依怙 주006)
의호(依怙):
믿고 의지함.
ㅣ시니라 一切 德이 시면 求호 조차 應샤 十四 無畏  아니시며 衆生 慈로 보시면 濟度얌직닐 야 濟度샤 三十二 應 주007)
삼십이응: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나타내는 32가지 모양.
 아니샷다 그 福聚 주008)
복취(福聚):
많은 복.
ㅣ 바 샤 利澤 주009)
이택(利澤):
이익과 혜택.
이 다디 아니실 歸命 주010)
귀명(歸命):
돌아감. 귀의함. ‘나무(南無)’.
올 띠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보고 들음을 돌려 들어가게 하시어 여러 가지의 진망을 벗어나셨으므로 이것이 이르신바 정성(=깨끗한 성인)이시고, 저 바른 생각을 타시어[乘] 복력을 빌리셨으므로 이것이 이르신바 의호(=믿고 의지함)이니라. 일체 덕이 갖추어지시면 구함을 좇아 응하시어 14무외뿐만이 아니시며, 중생을 자비로운 눈으로 보시면 제도함직한 이를 가리어(=택하여) 제도하시어 32응뿐만이 아니시도다. 그 복취가 바다 같으시어 이익과 혜택이 다하지 아니하시므로 귀명하여야 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조:깨끗한. 좋-[淨]+.
주002)
미두리:믿을 만한 이가. 믿-+우+ㄹ+이+∅(주격조사).
주003)
자:갖추어져. -[具]+아.
주004)
돌아드리샤:‘돌아’는 사동사 ‘도다’의 활용형이다. ‘돌다’의 활용형이라면 ‘도라’가 된다. ‘드리샤’는 ‘들-+이(사동접미사)+시+아’.
주005)
정념(正念):8정도의 하나. 수행하기 위해 정신을 집중하는 것.
주006)
의호(依怙):믿고 의지함.
주007)
삼십이응: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나타내는 32가지 모양.
주008)
복취(福聚):많은 복.
주009)
이택(利澤):이익과 혜택.
주010)
귀명(歸命):돌아감. 귀의함. ‘나무(南無)’.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