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9. 게송을 설하다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9. 게송을 설하다 16



〔본문〕

법화경언해 권7:96ㄱ

悲體戒 울에 주001)
울에:
우뢰. 울-[鳴]+에. 오늘날의 ‘우뢰’는 한자(雨雷)에 잘못 견인(牽引)된 것.
震動호미오 慈意妙 大雲이라 甘露 法雨 브 주002)
브:
부어. -[注]+어. 원문에는 ‘澍’(단비 주, 적실 주)로 되어 있음.
煩惱ㅅ 브를 주003)
브를:
불을. ‘블〉불’.
더니라 주004)
더니라:
더느니라. 덜-[除]++니+라. /ㄴ/ 앞에서 /ㄹ/ 탈락.

〔본문〕 비체계는 우레가 진동함이고 자의묘는 큰 구름이다. 감로 법우를 부어 번뇌의 불을 덜어내느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戒 쳐 주005)
쳐:
가르쳐. 치-[敎]+어. 중세국어의 ‘치-’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를 지녔음.
警戒실 씨라 法身이 體 업스샤 悲로 體 사실 敎戒 行샤미 주006)
행(行)샤미:
여기의 ‘行-’는 자동사이다. ‘所行’의 번역.
울에 니러 주007)
니러:
일어나. 닐-[起. 作]+어.
뮈 주008)
뮈:
움직이듯.
시며 聖人이  업스샤 慈로  사실 利澤 주009)
이택(利澤):
이익과 혜택.
니와

법화경언해 권7:96ㄴ

샤미
주010)
니와샤미:
일어나심이. 니-[起]+왇(강세접미사. 〈)+시+아+ㅁ+이. 일반적으로 ‘니왇-’은 ‘니/니르/닐-[起]+(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 〈)’의 구조로서 타동사로 쓰인다. 여기서처럼 자동사로 쓰이는 것은 매우 드문 예인 듯하다.
구루믜 주011)
구루믜:
주격형 ‘구루미’가 옳은 듯. 이른바 주어적 관형격형에 잘못 유추된 것으로 보인다.
축추기 주012)
축추기:
축축하게.
둡 주013)
둡:
덮듯. 둪-[覆]+.
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계는 가르쳐 경계하시는 것이다. 법신이 체가 없으시되 비로써 체를 삼으시므로 교계 행하심이 우레가 일어나 흔들리듯 하시며, 성인이 뜻이 없으시되 자로써 뜻을 삼으시므로 이익과 혜택이 일어나심이 구름이 축축하게 덮듯 하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울에:우뢰. 울-[鳴]+에. 오늘날의 ‘우뢰’는 한자(雨雷)에 잘못 견인(牽引)된 것.
주002)
브:부어. -[注]+어. 원문에는 ‘澍’(단비 주, 적실 주)로 되어 있음.
주003)
브를:불을. ‘블〉불’.
주004)
더니라:더느니라. 덜-[除]++니+라. /ㄴ/ 앞에서 /ㄹ/ 탈락.
주005)
쳐:가르쳐. 치-[敎]+어. 중세국어의 ‘치-’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를 지녔음.
주006)
행(行)샤미:여기의 ‘行-’는 자동사이다. ‘所行’의 번역.
주007)
니러:일어나. 닐-[起. 作]+어.
주008)
뮈:움직이듯.
주009)
이택(利澤):이익과 혜택.
주010)
니와샤미:일어나심이. 니-[起]+왇(강세접미사. 〈)+시+아+ㅁ+이. 일반적으로 ‘니왇-’은 ‘니/니르/닐-[起]+(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 〈)’의 구조로서 타동사로 쓰인다. 여기서처럼 자동사로 쓰이는 것은 매우 드문 예인 듯하다.
주011)
구루믜:주격형 ‘구루미’가 옳은 듯. 이른바 주어적 관형격형에 잘못 유추된 것으로 보인다.
주012)
축추기:축축하게.
주013)
둡:덮듯. 둪-[覆]+.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