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9. 게송을 설하다 2
메뉴닫기 메뉴열기

9. 게송을 설하다 2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본문〕

법화경언해 권7:86ㄱ

世尊 妙相이 시니 주001)
시니:
갖추어지셨으니. -[具]+시+니. ‘-’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이는 능격동사.
주002)
내:
제가. 나+ㅣ. 중세국어에는 ‘나’의 겸칭인 ‘저’가 쓰이지 않았다.
이제 다시 뎌 주003)
뎌:
저 분을. 저 분에 대하여. 뎌[彼]+.
묻노니 佛子ㅣ 엇던 因緣으로 일후미 觀世音이시니고 妙相이 신 尊이 偈로 無盡意 對答샤 주004)
네:
너는. 너+ㅣ(주격조사)→ :네(상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觀音行의 주005)
관음행(觀音行)의:
주격조사가 쓰일 자리이나, 서술어가 명사형(‘應홈’)이기 때문에 관형격조사를 쓴 것.
여러 方所애 이대 주006)
이대:
잘(부사). ‘좋다’란 뜻을 갖는 형용사 ‘읻-’에 접미사 ‘-애’가 붙은 것.
應호 드르라 큰 盟誓 기푸미 바 주007)
바:
바다. 중세국어에는 ‘바’과 ‘바다ㅎ’이 공존.
야 劫을 不思

법화경언해 권7:86ㄴ

議 디나 한 千億 佛을 뫼와 주008)
뫼와:
모셔. 뫼/뫼오-[侍]+아. ‘--’은 원래 선어말어미이나, ‘뫼-’가 ‘--’과 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공시적으로는 분석할 수 없음.
큰 淸淨願을 發니 내 너 爲야 져기 주009)
져기:
약간. 간략하게. 젹-[少]+이.
니노니 일훔 듣거나  몸 보아 매 念야 空히 디내디 아니면 能히 諸有엣 苦 滅리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본문〕 “세존 묘상이 갖추어지셨으니, 제가 이제 다시 저 분에 대해 여쭙노니, 불자께서는 어떤 인연으로 이름이 관세음이십니까?” 묘상이 갖추어지신 높으신 분께서 게송으로 무진의에게 대답하시되, “너는 관음행이 여러 장소에 잘 응함을 들으라. 큰 맹세 깊음이 바다와 같아서 겁을 불사의를 지나, 많은 천억 분의 부처를 모셔 큰 청정한 소원을 발하니, 내가 너를 위하여 간략하게 이르노니, 이름을 듣거나 또 몸을 보아 마음에 염하여 헛되이 지내지 아니하면 능히 제유의 고통을 멸하리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시니:갖추어지셨으니. -[具]+시+니. ‘-’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이는 능격동사.
주002)
내:제가. 나+ㅣ. 중세국어에는 ‘나’의 겸칭인 ‘저’가 쓰이지 않았다.
주003)
뎌:저 분을. 저 분에 대하여. 뎌[彼]+.
주004)
네:너는. 너+ㅣ(주격조사)→ :네(상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주005)
관음행(觀音行)의:주격조사가 쓰일 자리이나, 서술어가 명사형(‘應홈’)이기 때문에 관형격조사를 쓴 것.
주006)
이대:잘(부사). ‘좋다’란 뜻을 갖는 형용사 ‘읻-’에 접미사 ‘-애’가 붙은 것.
주007)
바:바다. 중세국어에는 ‘바’과 ‘바다ㅎ’이 공존.
주008)
뫼와:모셔. 뫼/뫼오-[侍]+아. ‘--’은 원래 선어말어미이나, ‘뫼-’가 ‘--’과 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공시적으로는 분석할 수 없음.
주009)
져기:약간. 간략하게. 젹-[少]+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