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9. 게송을 설하다 3
메뉴닫기 메뉴열기

9. 게송을 설하다 3



〔본문〕

법화경언해 권7:87ㄱ

비록 害홀 들 니와다 주001)
니와다:
일으켜. 니/니르/닐-[起](자동사어간)+(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아(연결어미).
븘구데 주002)
븘구데:
불구덩이에. 블[火]+ㅅ+굳[坑]+에.
미러 주003)
미러:
밀어[推].
디여도 주004)
디여도:
떨어뜨려도. 디-+이(사동접미사)+어+도.
뎌 觀音 念혼 히므로 븘구디 變야 모시 외며 시혹 큰 바래  흘러 龍 魚 諸鬼難애 뎌 觀音 念혼 히므로 波浪이 能히 디 주005)
디:
물에 잠그지. 물에 담그지. -[沒. 沈]+디. 타동사.
몯며

〔본문〕 비록 해칠 뜻을 일으켜 큰 불구덩이에 밀어 떨어뜨려도 저 관음을 염한 힘으로 불구덩이가 변하여 연못이 되며, 혹시 큰 바다에 떠서 흘러(=표류하여) 용과 물고기와 모든 귀신의 난에도 저 관음을 염한 힘으로 물결이 능히 물에 빠뜨리지 못하며,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87ㄴ

므레 漂浪 니시면 風災ㅣ 주006)
풍재(風災)ㅣ:
목적격조사를 쓸 자리에 주격조사를 쓴 것으로 보인다. 이런 예가 가끔 보인다. 〈예〉 觀師ㅣ 니샤 일 밧긔 理ㅣ 求호 二乘의 기운 眞이오 이릐 곧 理ㄴ  照호 菩薩ㅅ 키 아샤미라 시니라(선종영가집언해 상13ㄱ).
샷다 주007)
샷다:
하시었도다. -+시+아(선어말어미)+ㅅ(감탄선어말어미)+다. ‘-아-’는 ‘-오-’의 이형태인 듯함.
이브터 電雹消散애 니르린 주008)
니르린:
이르기까지는. 니를-[至]+이(부사파생접미사)+ㄴ(보조사).
주009)
밧:
밖. →밧.
業을 頌시니라 長行애 이션 주010)
이션:
있어서는. 이시-+어(연결어미)+ㄴ(보조사).
十四 無畏 외샤 頌文엣 일 相이 디 아니시며  傍頌 더으샤 주011)
더으샤:
더하심은. 보태심은. 더으-[加]+시+아+ㅁ+. ‘-아-’는 ‘-오/우-’의 이형태.
十四 無畏 特別히 大略 드러 니시니 實엔 一切 功德이 신 젼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물에 있어서 물결을 말씀하시면 풍재를 아우르셨도다. 여기서부터 ‘전박소산’에 이르기까지는 다 밖의 업을 기리신 것이다. 장행에 있어서는 14 무외가 되시되, 송문(頌文)의 일의 상이 같지 아니하시며, 또 방송(傍頌)을 더하신 것은 14 무외는 특별히 대략을 들어 이르신 것이니, 실제로는 일체 공덕이 갖추어지신 까닭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니와다:일으켜. 니/니르/닐-[起](자동사어간)+(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아(연결어미).
주002)
븘구데:불구덩이에. 블[火]+ㅅ+굳[坑]+에.
주003)
미러:밀어[推].
주004)
디여도:떨어뜨려도. 디-+이(사동접미사)+어+도.
주005)
디:물에 잠그지. 물에 담그지. -[沒. 沈]+디. 타동사.
주006)
풍재(風災)ㅣ:목적격조사를 쓸 자리에 주격조사를 쓴 것으로 보인다. 이런 예가 가끔 보인다. 〈예〉 觀師ㅣ 니샤 일 밧긔 理ㅣ 求호 二乘의 기운 眞이오 이릐 곧 理ㄴ  照호 菩薩ㅅ 키 아샤미라 시니라(선종영가집언해 상13ㄱ).
주007)
샷다:하시었도다. -+시+아(선어말어미)+ㅅ(감탄선어말어미)+다. ‘-아-’는 ‘-오-’의 이형태인 듯함.
주008)
니르린:이르기까지는. 니를-[至]+이(부사파생접미사)+ㄴ(보조사).
주009)
밧:밖. →밧.
주010)
이션:있어서는. 이시-+어(연결어미)+ㄴ(보조사).
주011)
더으샤:더하심은. 보태심은. 더으-[加]+시+아+ㅁ+. ‘-아-’는 ‘-오/우-’의 이형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