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묘장엄왕본사품 제27
  • 11. 두 아들의 덕행 1
메뉴닫기 메뉴열기

11. 두 아들의 덕행 1



〔본문〕

법화경언해 권7:146ㄱ

그  雲雷音宿王 華智佛이

법화경언해 권7:146ㄴ

妙莊嚴王려 니「샤 이 며 이 야 네 말 니라 주001)
니라:
같으니라. ++니+라. 어간이 ‘-’으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형성된 새로운 어간이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다가 善男子 善女人이 善根 심곤 주002)
심곤:
심은. -+오+ㄴ.
젼로 世世예 善知識을 得니 그 善知識이 能히 佛事야 示敎利喜야 阿耨多羅 三藐 三菩提예 들에 주003)
들에:
들게. 들-+게/에. /ㄹ/ 뒤에서 /ㄱ/ 약화.
니라 大王아 반기 알라 善知識은 이 큰 因緣이니 닐온 化야 引導야 시러 주004)
시러:
능히. 동사의 활용형 ‘싣-[得]+어→시러’가 부사로 굳어진 것. 동사 어간 형태가 ‘싣-’임은 다음 예로 확인된다. ‘福 모도아 싣게 호리라’(석보상절 24:10). ‘得은 시를 씨라’(훈민정음언해 2ㄱ). 만약 어간이 ‘실-’이라면 그 관형사형은 ‘실(실-+ㄹ)’이 된다.
부텨 보아 阿耨多羅 三藐 三菩提心을 發케 니라

〔본문〕 그 때에 운뢰음수왕화지불이 묘장엄왕더러 이르시되, “이 같으며 이 같아서 네 말과 같으니라. 혹 선남자 선여인이 선근을 심은 까닭으로 모든 세상에서 선지식을 얻나니, 그 선지식이 능히 불사하여 시교리희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들게 하느니라. 대왕아, 반드시 알아라. 선지식은 이 사람이 큰 인연이니, 이른바 교화하여 인도하여 능히 부처를 보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하게 하기 때문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주005)
앏:
앞. ‘앒→앏’은 8종성표기법의 적용.
마 맛샤 印證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앞의 말의 마땅하심을 인증하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니라:같으니라. ++니+라. 어간이 ‘-’으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형성된 새로운 어간이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02)
심곤:심은. -+오+ㄴ.
주003)
들에:들게. 들-+게/에. /ㄹ/ 뒤에서 /ㄱ/ 약화.
주004)
시러:능히. 동사의 활용형 ‘싣-[得]+어→시러’가 부사로 굳어진 것. 동사 어간 형태가 ‘싣-’임은 다음 예로 확인된다. ‘福 모도아 싣게 호리라’(석보상절 24:10). ‘得은 시를 씨라’(훈민정음언해 2ㄱ). 만약 어간이 ‘실-’이라면 그 관형사형은 ‘실(실-+ㄹ)’이 된다.
주005)
앏:앞. ‘앒→앏’은 8종성표기법의 적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