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묘장엄왕본사품 제27
  • 6. 교화의 공이 드러나다
메뉴닫기 메뉴열기

6. 교화의 공이 드러나다



〔본문〕

법화경언해 권7:139ㄱ

뎌  妙莊嚴王 後宮 八萬四千 人이 다 어루 이 法華經을 受持리며 淨眼菩薩은 法華 三昧예 오래 마 通達며 淨藏菩薩 마 無量 百千萬億 劫에 離諸惡趣 三昧 通達터니 一切 衆生로 諸惡趣 여희에 주001)
여희에:
벗어나게. 여희-+게/에. 음절말의 부모음 [j] 뒤에서 /ㄱ/ 약화.
코져 주002)
코져:
하고자. -+고+지+어. /ㆍ/ 탈락. ‘-지-’는 [소망]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논 젼라 그 王 夫人은 諸佛集 三昧 得야 能히 諸佛ㅅ 秘密藏 아더니

〔본문〕 저(=그) 때에 묘장엄왕의 후궁 8만4천 사람이 다 능히 이 법화경을 수지할 것이며, 정안보살은 법화 삼매에 오래 전에 이미 통달하였으며 정장보살은 이미 무량 백천만억 겁에 모든 악취를 벗어나는 삼매를 통달하였으니,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모든 악취를 벗어나게 하고자 하는 까닭이다. 그 왕의 부인은 제불집 삼매를 얻어서 능히 제불의 비밀장을 알더니,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139ㄴ

이 宮 오로 주003)
오로:
온전히 하여. 아울러 ‘오로’는 부사인데, 여기서는 동사의 연결형으로 보임.
有德샤 수이 勸化실  펴시니라 後宮ㅅ 德은 根機ㅣ 純히 利시고 淨眼ㅅ 德은 實相 微妙히 

법화경언해 권7:140ㄱ

시고 淨藏ㅅ 德은 이대 주004)
이대:
잘(부사). ‘좋다’란 뜻을 갖는 형용사의 어간 ‘읻-’에 접미사 ‘-애’가 붙은 것.
能히 자바 濟度시고 夫人ㅅ 德은 法要 기피 아시니 王과 後宮과 當 機ㅣ시고 淨藏 淨眼은 能敎ㅣ시니 機와 敎왜 서르 마실 수이 化샤미라 集 三昧 諸佛ㅅ 모신 조외신 주005)
조외신:
종요로우신. 조/조[核](명사)+/외(형용사파생접사)+시+ㄴ(관형사형어미). ‘조’은 ‘-/외-’ 앞에서 ‘조’로 바뀜. ‘--’은 자음 앞에서, ‘-외-’는 모음 앞에서 쓰임. ‘-외-’의 전신은 ‘--’.
거시며 三乘 갈  치샤니니 이런로 이 三昧 得시면 能히 秘藏 아시리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는 궁인을 다 아울러 유덕하시어 쉽게 권화(勸化)하시는 것을 펴신 것이다. 후궁의 덕은 근기가 순수하게 영리하시고 정안의 덕은 실상을 미묘하게 꿰뚫으시고 정장의 덕은 잘 능히 잡아서 제도하시고 부인의 덕은 법요를 깊이 아시니, 왕과 후궁은 당한 근기이시고 정장과 정안은 능교이시니, 기와 교가 서로 맞으시므로 쉽게 교화하시는 것이다. 집 3매는 모든 부처가 모이신(=깨달으신) 종요로운 것이며, 3승의 갈 곳을 가리키신 것이니, 이런 까닭으로 이 3매를 얻으시면 능히 비장을 아시리라.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여희에:벗어나게. 여희-+게/에. 음절말의 부모음 [j] 뒤에서 /ㄱ/ 약화.
주002)
코져:하고자. -+고+지+어. /ㆍ/ 탈락. ‘-지-’는 [소망]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주003)
오로:온전히 하여. 아울러 ‘오로’는 부사인데, 여기서는 동사의 연결형으로 보임.
주004)
이대:잘(부사). ‘좋다’란 뜻을 갖는 형용사의 어간 ‘읻-’에 접미사 ‘-애’가 붙은 것.
주005)
조외신:종요로우신. 조/조[核](명사)+/외(형용사파생접사)+시+ㄴ(관형사형어미). ‘조’은 ‘-/외-’ 앞에서 ‘조’로 바뀜. ‘--’은 자음 앞에서, ‘-외-’는 모음 앞에서 쓰임. ‘-외-’의 전신은 ‘--’.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