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다라니품 제26
  • 다라니품 서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다라니품 서문


六. 弘護流通


6. 홍호유통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7:106ㄴ

주001)
앏:
앞. 앒→앏. ‘ㅍ→ㅂ’은 8종성표기의 적용.
品에 妙 從야 圓샤 마 초 주002)
초:
갖추어. 부사. 동사 ‘초-’에서 영파생.
일워신마 주003)
일워신마:
이루어셨건만. 일-+우(사동접미사)+어(확정의 선어말어미)+시+ㄴ마. ‘-어/아-’는 타동사에 쓰이고, ‘-거-’는 비타동사에 쓰임.
그러나 守衛호미 업스면 魔ㅅ 이리 시혹 니러 주004)
니러:
일어나. 닐-+어.
주005)
인:
이루어진. 일-+ㄴ.
功 妄量로 헐까 주006)
헐까:
허물어뜨릴까. 헐뜯을까.
저플 二聖 二天 十神이 陀羅尼 呪 주007)
다라니주(陀羅尼呪):
다라니 주문. 진언(眞言). 다라니(dharani)는 총지(摠持)라 번역.
 니샤 魔障 모라 주008)
모라:
몰아. 내쫓아.
아 주009)
아:
빼앗아. 여기서는 ‘내쫓아’. ‘辟’(내쫓다)의 번역이다.
衰 시르믈 스러 주010)
스러:
없애. 슬-+어.
더로 盟誓실 일후미 陀羅尼品이라 야 弘護流通이 외니라 그러나 德 일우샨 行이 마 妙코 圓시거니 어딋던 주011)
어딋던:
어찌. 형태론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이다. 보조사 ‘-잇’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魔事ㅣ 이시리오 楞嚴에 니샤 本覺妙明이 어드워 迷惑 空이 외야 一切 魔鬼ㅣ 다 空昧 브트니 고미 能히 어

법화경언해 권7:107ㄱ

드우믈 야릴  사미 眞을 發면 주012)
뎨:
저들이. 뎌+ㅣ.
다 스러디리니 며 뎌 주013)
뭀:
여러. 물[群]+ㅅ(관형격조사).
邪ㅣ 이 塵勞 야 야딜까 저흘 三昧時예 모다 와 어즈리니라 주014)
어즈리니라:
어지럽히느니라. 어즐-(불규칙적 어근)+이(사동접미사)++니+라. 접사와 결합하지 않은 ‘어즐-’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불규칙적 어근으로 잡아 둔다.
시니 이 奢摩他 주015)
사마타(奢摩他):
망념을 쉬고 마음을 한 곳에 머무르는 것.
中엣 微細 魔ㅅ 이릴【奢摩他 예셔 닐오매 止니 止 그치누를 주016)
그치누를:
끊어누를. 억제할. 긏-[止]+이(사동접미사)+누르-[壓]+ㄹ. 어간 ‘그치-’가 부사로 영파생된 것으로 보임.
씨라】
모로매 마가 간슈샬 주017)
간슈샬:
간수하실. 지키실. 간슈+-+시+아+ㄹ. ‘-아-’는 ‘-오/우-’의 이형태.
띠니 이 實로 流通앳 도오미시니라 주018)
도오미시니라:
도움이시니라. 돕/도오-+ㅁ+이+시+니+라.
陀羅尼 예셔 닐오매 摠持니 곧 念慧妙力이며 諸佛 密語 주019)
밀어(密語):
비밀스러운 말. 다라니.
ㅣ시니 一字 多字 無字의 달오미 겨샤 能히 一字로 無量法을 모도시며 無量義 디니샤 邪 것고 주020)
것고:
꺾고. -+고.
正을 셰시며 주021)
셰시며:
세우시며. 셔-+ㅣ(사동접미사)+시+며.
惡을 滅코 善 내샤 다 能히

법화경언해 권7:107ㄴ

모도아 디니샤 니니라 그 體 일후미 陀羅尼오 그 用 일후미 「呪ㅣ니 呪 빌 씨니 法으로 비러 비논 이 從케  씨라 呪 시혹 諸佛 密語ㅣ 心術에 나샤 妙用으로 그기 주022)
그기:
그윽이. 깊숙이. 그-+이.
더으시논 功 시러 주023)
시러:
능히. 동사의 활용형 ‘싣-[得]+어→시러’가 부사로 굳어진 것. 동사 어간 형태가 ‘싣-’임은 다음 예로 확인된다. ‘福 모도아 싣게 호리라’(석보상절 24:10). ‘得은 시를 씨라’(훈민정음언해 2ㄱ). 만약 어간이 ‘실-’이라면 그 관형사형은 ‘실(실-+ㄹ)’이 된다.
思議 몯니시며 주024)
몯니시며:
못하옵는 분이시며. 몯++++ㄴ+이(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시+며.
시혹 鬼神王ㅅ 일후미니 그 王 브르면 妖魅 주025)
요매(妖魅):
요망한 도깨비(=헛것).
ㅣ 逃亡야 굿브니라 주026)
굿브니라:
엎드리느니라. 굿블-[伏]++니+라.
密語와 神 일후믄 飜譯호미 몯릴 주027)
몯릴:
‘몯-’가 ‘-호미’에 후행하는 것은 현대국어와 다른 점이다.
시혹 닐오 眞言이니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앞의 품에서 묘를 좇아 원만구족하시어 이미 갖추어 덕을 이루셨건만, 그러나 지킴이 없으면 악마의 일이 혹 일어나 이루어진 공덕을 망량으로 헐까 두려우므로 2성 2천 10신이 다라니주를 이르시어 마장을 몰아 빼앗아(=내쫓아) 쇠잔한 시름을 없애어 덜어냄을 맹세하셨으므로 이름이 다라니품이라 하여 홍호유통이 되었느니라. 그러나 덕을 이루신 행이 이미 미묘하고 원만하시니, 어찌 마사가 있으리오? 능엄경에서 이르시되, “본각묘명이 어두워 미혹한 공이 되어 일체 마귀가 다 공매를 의지하니, 밝음이 어둠을 깨뜨릴 것이므로 한 사람이 진을 발하면 저들이 다 스러지리니, 하물며 저 여러 사악함이 이 진로를 사랑하여 허물어질까 두려워하므로 삼매의 시간에 모두 와서 어지럽히느니라.” 하시니, 이는 사마타 중의 미세한 마의 일이므로【사마타는 여기(=송나라)에서 이름에 ‘지’이니, ‘지’는 끊어누르는 것이다.】 모름지기 막아 간수하셔야 할 것이니, 이는 실로 유통의 도움이시니라. 다라니는 여기(=송나라)에서 일컬음에 총지(=모두 지님)이니, 곧 염혜묘력이며 여러 부처의 비밀스런 말씀이시니, 한 글자인 경우와 여러 글자인 경우와 글자 없는 경우의 다름이 있으시되, 능히 한 글자로 무량법을 모으시며 무량의를 지니시어 사를 꺾고 바름을 세우시며 악을 멸하고 선을 만들어내심을 다 능히 모아 지니심을 이른 것이다. 그 체는 이름이 다라니요, 그 용은 이름이 ‘주’이니, ‘주’는 비는 것이니, 법으로 빌어서[祝] 비는[祈] 일을 따르게 하는 것이다. ‘주’는 혹 여러 부처의 밀어가 심술에서 나시어 묘용으로 그윽이(=깊숙이) 더하시는 공덕을 능히 생각하고 의론하지 못하옵는 분이시며, 혹 귀신왕의 이름이니, 그 왕을 부르면 요매가 도망하여 엎드리느니라. 밀어와 신 이름은 번역함이 불가능하므로, 혹 이르되 진언이니,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앏:앞. 앒→앏. ‘ㅍ→ㅂ’은 8종성표기의 적용.
주002)
초:갖추어. 부사. 동사 ‘초-’에서 영파생.
주003)
일워신마:이루어셨건만. 일-+우(사동접미사)+어(확정의 선어말어미)+시+ㄴ마. ‘-어/아-’는 타동사에 쓰이고, ‘-거-’는 비타동사에 쓰임.
주004)
니러:일어나. 닐-+어.
주005)
인:이루어진. 일-+ㄴ.
주006)
헐까:허물어뜨릴까. 헐뜯을까.
주007)
다라니주(陀羅尼呪):다라니 주문. 진언(眞言). 다라니(dharani)는 총지(摠持)라 번역.
주008)
모라:몰아. 내쫓아.
주009)
아:빼앗아. 여기서는 ‘내쫓아’. ‘辟’(내쫓다)의 번역이다.
주010)
스러:없애. 슬-+어.
주011)
어딋던:어찌. 형태론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이다. 보조사 ‘-잇’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주012)
뎨:저들이. 뎌+ㅣ.
주013)
뭀:여러. 물[群]+ㅅ(관형격조사).
주014)
어즈리니라:어지럽히느니라. 어즐-(불규칙적 어근)+이(사동접미사)++니+라. 접사와 결합하지 않은 ‘어즐-’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불규칙적 어근으로 잡아 둔다.
주015)
사마타(奢摩他):망념을 쉬고 마음을 한 곳에 머무르는 것.
주016)
그치누를:끊어누를. 억제할. 긏-[止]+이(사동접미사)+누르-[壓]+ㄹ. 어간 ‘그치-’가 부사로 영파생된 것으로 보임.
주017)
간슈샬:간수하실. 지키실. 간슈+-+시+아+ㄹ. ‘-아-’는 ‘-오/우-’의 이형태.
주018)
도오미시니라:도움이시니라. 돕/도오-+ㅁ+이+시+니+라.
주019)
밀어(密語):비밀스러운 말. 다라니.
주020)
것고:꺾고. -+고.
주021)
셰시며:세우시며. 셔-+ㅣ(사동접미사)+시+며.
주022)
그기:그윽이. 깊숙이. 그-+이.
주023)
시러:능히. 동사의 활용형 ‘싣-[得]+어→시러’가 부사로 굳어진 것. 동사 어간 형태가 ‘싣-’임은 다음 예로 확인된다. ‘福 모도아 싣게 호리라’(석보상절 24:10). ‘得은 시를 씨라’(훈민정음언해 2ㄱ). 만약 어간이 ‘실-’이라면 그 관형사형은 ‘실(실-+ㄹ)’이 된다.
주024)
몯니시며:못하옵는 분이시며. 몯++++ㄴ+이(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시+며.
주025)
요매(妖魅):요망한 도깨비(=헛것).
주026)
굿브니라:엎드리느니라. 굿블-[伏]++니+라.
주027)
몯릴:‘몯-’가 ‘-호미’에 후행하는 것은 현대국어와 다른 점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