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7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 묘음보살품 제24
  • 2. 묘음보살이 얻은 삼매 1
메뉴닫기 메뉴열기

2. 묘음보살이 얻은 삼매 1



〔본문〕

법화경언해 권7:6ㄱ

주001)
:
때에.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一切 淨光 莊嚴國 中에  菩薩이 겨샤 일후미 妙音이러시니 오래 마 한 德本 시므샤 無量 百千萬億 諸佛을 供養 親

법화경언해 권7:6ㄴ

近샤 甚深 智慧 다 일우샤 주002)
일우샤:
이루시어. 일-[成]+우(사동접미사)+시+아.

〔본문〕 그 때에 일체 정광 장엄국 중에 한 보살이 계셨는데, 이름이 묘음이시더니, 오랫동안 이미 많은 덕본을 심으시어 무량 백천만억 제불을 공양 친근하시어 깊은 지혜를 이루시어,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德 시므며 주003)
시므며:
심으며. 시므-[植]+며. ‘시므-’와 ‘-’ 두 어간이 쓰임. 중세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자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후자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쓰임. 그러나 ‘시므시-, 시므며’도 보임.
부텨 供養샤 기픈 智慧 일우샤 주004)
일우샤:
이루심은. 일-[成]+우+시+아+ㅁ+. ‘-아-’는 ‘-오/우-’의 이형태. ‘-시-’의 이형태 ‘-샤’는 인정하지 않기로 함.
福慧 주005)
복혜(福慧):
복덕과 지혜.
兩足 주006)
양족(兩足):
대원(大願)과 수행, 혹은 복덕과 지혜 두 가지를 다 구족함.
오니라 주007)
오니라:
아뢴 것이다. 오-[白]+니+라. 정음 초기 문헌이라면 ‘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덕을 심으며 부처를 공양하시어 깊은 지혜를 이루심은 복덕과 지혜 두 가지를 다 갖춤을 아뢴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3년 9월 20일

주석
주001)
:때에.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02)
일우샤:이루시어. 일-[成]+우(사동접미사)+시+아.
주003)
시므며:심으며. 시므-[植]+며. ‘시므-’와 ‘-’ 두 어간이 쓰임. 중세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자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후자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쓰임. 그러나 ‘시므시-, 시므며’도 보임.
주004)
일우샤:이루심은. 일-[成]+우+시+아+ㅁ+. ‘-아-’는 ‘-오/우-’의 이형태. ‘-시-’의 이형태 ‘-샤’는 인정하지 않기로 함.
주005)
복혜(福慧):복덕과 지혜.
주006)
양족(兩足):대원(大願)과 수행, 혹은 복덕과 지혜 두 가지를 다 구족함.
주007)
오니라:아뢴 것이다. 오-[白]+니+라. 정음 초기 문헌이라면 ‘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